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지속 성장하려면 끊임없는 파괴적 혁신이 필요하죠

    파괴적 혁신의 정의 공고했던 고속복사기 시장과 컴퓨터 시장은 모두 작은 기업에 의해 무너졌다. 이들 사례의 공통점은 ‘파괴적 혁신 전략’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스쿨 교수인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교수는 그의 기념비적인 적서 《혁신기업의 딜레마》 《성장과 혁신》에서 혁신은 존속적 혁신과 파괴적 혁신으로 구분된다고 설명한다. 존속적 혁신은 기술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혁신을 의미한다. 한층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 학습 길잡이 기타

    올해 수능의 영어 어휘들(1)

    지난 11월15일에 치러진 2019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의 영어영역은 작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반응입니다. 작년의 1등급 비율이 10%가 넘은 반면에 올해는 5%대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느낀 체감 난도는 상당히 높았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어휘 수준을 어렵지 않게 출제하겠다는 약속은 어느 정도 지켜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detrimental(해로운)은 harmful로, ...

  • 진학 길잡이 기타

    수능 원점수보다 표준점수 잘 따져 대입전략 짜세요

    올해 수능의 가채점 결과, 불수능이라는 반응이다. 수시 논술과 면접의 경우 최저등급 확보가 최대 관건이 되었다. 또한 정시전략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이번 호는 금년도 수능 상황과 7단계 정시 지원 전략을 설명한다. 1) 수능 어려워 정시전략 치열할 듯 지난 5일 수능출제위원장(이강래 사학과 교수)은 국어와 영어 영역에 대해서는 출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다는 점을, 수학과 탐구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술 답안은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추는 게 중요하죠

    문제 분석 및 답안작성 방향 [문제 1] 여행자가 여행을 떠나게 된 ‘동기’와 여행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를 (가), (나), (다), (라)에서 각각 찾아서 하나의 완성된 글로 논술하시오. 중앙대의 대표적인 유형에 해당합니다. 답안을 작성할 때 ‘하나의 완성된 글’ 즉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취해야 한다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물론 논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행을 떠나는 동기와 여행의 의미를 ...

  • 테샛 공부합시다

    생산요소를 가장 효율적으로 써야 성장하죠

    ‘한강의 기적’은 한국 경제의 성장 결과를 한마디로 표현해준다. 전쟁이 낳은 극도의 가난을 뚫고,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오르내리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한 성과는 기적일 수밖에 없다. 한국의 발전은 세계 경제학자들이 연구해야 할 주제가 됐다. 생산 활동이라고는 기대할 것이 없어 보였던 나라가 어떻게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뤘는지는 중요한 연구 주제다. 애초부터 한국을 대상으로는 절대적인 생산요소의 부족으로 생산...

  • 테샛 공부합시다

    가격하한제

    문제 총수요 부족으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어떤 나라 정부가 재정정책의 일환으로 정부 구매를 2000억원 늘린다고 하자. 투자 지출은 고정돼 있고 한계소비성향은 3/4일 경우 총수요는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는가? ① 6000억원 감소 ② 8000억원 증가 ③ 1조원 증가 ④ 1조2000억원 감소 ⑤ 1조4000억원 증가 해설 정부 지출을 늘릴 경우 정부 지출 승수를 구하는 공식은 1/(1-한계소비성향)이다. ‘승수&...

  • 진로 길잡이 기타

    NCS 직업기초 문제를 기본으로 삼고 경제·금융·시사 실력으로 면접 볼 사람 뽑아

    은행들은 하반기에 채용 필기시험을 거의 모두 도입했다. 필기시험의 공통점은 NCS직업기초 능력과 경제금융시사 지력을 측정하는 시험이 주류를 이뤘다는 점이다. 지난주 ‘NCS직업기초능력’의 출제 경향과 학습 방법을 살펴본 것도 이런 맥락에서였다. NCS직업기초능력이 지원자의 기본적인 자질을 확인하는 시험이라면 ‘경제·금융·시사’ 파트는 지원자들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경제지력을 묻...

  • 경제 기타

    '평균의 덫'을 벗고 성공하는 삶의 공식

    야구 통계학자 빌 제임스는 수천 명의 타자 기록을 분석한 뒤 ‘노화 곡선’을 그렸다. 달리 말해 ‘성공 곡선’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그림은 기량이 20대 후반까지 꾸준히 상승하다가 30대 초부터 가파르게 내리막길을 걷게 되는 야구 선수의 전형을 보여준다. ‘과연 몇 살에 나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는가’를 나타낸 성공 곡선은 다른 분야에도 존재한다. 한 통계에 따르면 생물학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