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
커버스토리
세계로 나가는 K바이오, 새 지평을 열다
국산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글로벌 시장에서 질주하고 있다. 셀트리온 램시마가 오리지널 의약품의 시장 점유율을 넘어선 데 이어 같은 회사의 트룩시마,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베네팔리도 오리지널을 바짝 추격하며 시장을 휩쓸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류머티즘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베네팔리는 올 1분기 유럽에서 시장점유율 40%를 기록했다.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는 점유율이 50%를 넘어 오리지널인 얀센의 레미케이드를 추월했다.K바이오의 약진에 정부도 지원에 나섰다. 연간 4조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해 바이오헬스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와 미래형 자동차를 이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연간 2조6000억원 규모이던 바이오헬스 투자액은 2025년 4조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 목표를 종전 87만 개에서 117만 개로 30만 개 추가 창출하기로 했다. 각종 의료정보를 국가가 관리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도 내년부터 시행한다. 의료기관에 분산된 유전체 등 의료정보를 정부가 체계적으로 모아 맞춤형 신약과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기술(IT)과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접목해 정밀의료 및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하지만 원격의료가 원천봉쇄돼 있는 등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병원 밖에서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활용해 의료행위를 하는 것도 현행법상 불법이다.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글로벌 기업들은 바이오산업을 어
-
커버스토리
한국의 '바이오시밀러', 오리지널 약품보다 점유율 높아
셀트리온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지난해 말 유럽에서 5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복제약이 더 많이 팔렸다는 얘기다. 램시마의 성공 이후 국산 바이오시밀러가 글로벌 시장에 침투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램시마가 시장 점유율 50%를 넘어서는 데 4년이 걸렸지만 두 번째 제품인 ‘트룩시마’는 유럽 출시 1년 만인 지난해 말 36%를 돌파했다. 제약·바이오업계는 오리지널을 넘어서는 K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잇달아 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K바이오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생물의약품과 동등한 효능을 가진 바이오 복제약이다. 화학식만 알면 복제가 쉬운 합성의약품과 달리 생물의약품은 세포의 배양 조건, 정제 방법 등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동일하게 제조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복제약(generic)’ 대신 ‘비슷하다(similar)’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국내 바이오시밀러 개발사들은 고가의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오리지널 의약품을 위협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016년 1월 유럽에 처음 출시한 ‘베네팔리’는 2017년 점유율이 10%대에 불과했지만 출시 3년째인 올 1분기 4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오리지널 제품인 화이자의 ‘엔브렐’을 올해 안에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셀트리온 트룩시마는 2017년 4분기 18%에서 작년 4분기 36%로 점유율이 급등했다. 연말엔 50%를 돌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전문가들은 국산 바이오시밀러가 ‘퍼스트무버(시장 개척자)’의 이점을 살려 시장 선점에 성공한
-
커버스토리
글로벌 기업들, 신성장 분야로 바이오헬스산업 중점 육성
세계 각국은 바이오헬스산업을 신성장 분야로 중점 육성하고 있다. 바이오헬스는 기술집약적인 데다 대규모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정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오랜 기간 시장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각국 정부가 자국의 바이오헬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2022년이면 350조원에 달할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국가별 바이오산업 육성책 쏟아져미국은 2012년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연구개발(R&D) 분야 투자, 중개 과학, 사회대응형 과학 지원을 강화했다. 미 국립보건원(NIH) 예산은 2015년 295억달러(약 35조2600억원)에서 올해 338억달러로 늘었다. 예산의 80%는 대학, 병원 등 외부 연구자에게 집중 지원됐다. 정부 차원에서 2022년까지 미국인 유전자 100만 개를 확보해 분석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일본은 2015년 의료 분야 R&D 사령탑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립했다. 올해에만 예산 1515억엔(약 1조6500억원)을 편성했다. AMED는 바이오 R&D를 위한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예산 배분 기능도 맡고 있다. 일본은 AMED의 지휘 아래 의약품·의료기기 개발, 임상연구, 재생의료 및 유전자 치료 등 9대 주요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유럽연합(EU) 성장세도 괄목할 만하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건강 국가지만 고령화 및 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문제로 제약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피부질환 부문의 글로벌 강자인 레오파마, 당뇨병 치료 선도기업 노보노디스크 등이 벨기에에서 탄생했다. 2017년 기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15개를 포함해 200여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