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병산서원 배롱꽃 아래에서 당신을… [고두현의 아침 시편]
병산서원에서 보내는 늦은 전언서안나지상에서 남은 일이란 한여름 팔작지붕 홑처마 그늘 따라 옮겨 앉는 일게으르게 손톱 발톱 깎아 목백일홍 아래 묻어주고 헛담배 피워 먼 산을 조금 어지럽히는 일 살에 다친 무량한 풍경 불러들여 입교당 찬 대청마루에 풋잠으로 함께 깃드는 일 담벼락에 어린 흙내 나는 당신을 자주 지우곤 했다하나와 둘 혹은 다시 하나가 되는 하회의 이치에 닿으면 나는 돌 틈을 맴돌고 당신은 당신으로 흐른다삼천 권 고서를 쌓아두고 만대루에서 강학(講學)하는 밤 내 몸은 차고 슬픈 뇌옥 나는 나를 달려 나갈 수 없다늙은 정인의 이마가 물빛으로 차고 넘칠 즈음 흰 뼈 몇 개로 나는 절연의 문장 속에서 서늘해질 것이다 목백일홍 꽃잎 강물에 풀어쓰는 새벽의 늦은 전언 당신을 내려놓는 하심(下心)의 문장들이 다 젖었다*서안나 : 1965년 제주 출생. 1990년 <문학과 비평>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푸른 수첩을 찢다> <플롯 속의 그녀> <립스틱 발달사> 등 출간.이 시에는 많은 이야기가 겹쳐 있습니다. 시인의 경험과 그 속에 깃든 사연이 종횡으로 엮여 있지요. 어느 해 여름, 동료 시인들과 문학 순례를 떠난 시인은 안동 하회마을 인근의 병산서원에 도착했습니다. 병산서원에는 붉은 목백일홍(배롱나무)꽃이 만발해 있었죠.100일 가는 꽃 … 백일홍 → 배기롱 → 배롱목백일홍은 꽃을 한번 피우면 100일 이상 간다고 해서 ‘백일홍(百日紅)나무’라고 부릅니다. 오랫동안 사람들 입에서 ‘배기롱나무’로 불리다 ‘배롱나무’가 됐죠. 이 나무는 붉은 꽃을 석 달 반 넘게 피워 올립니다. ‘열흘 붉은 꽃 없다’는 화무십일홍(花無十
-
공약은 무담보, 찍은 표는 환불 없다
박빙 대선의 소용돌이 속에서 공약좌판은 넘쳐나고 호객행위도 요란하다. 무상복지, 반값 등록금, 두 배 기초노령연금을 띄운 플래카드가 사방에 걸렸지만 돈 나올 구석은 깜깜하다. 공약이 약속대로 이행되는 비극이 닥치면 국가재정 파탄에 앞서 대학부터 거덜나게 됐다. 대학재정 대부분을 국가가 책임지는 독일, 프랑스와는 달리 한국은 등록금과 기부금으로 겨우 꾸려가는 사립대학이 많다. 사립대학 등록금을 절반으로 깎아 정부예산으로 메워주기란 재정여건상 불가능하다. 설령 세금을 대폭 올려 재원을 마련했다 하더라도, 전기가 끊겨 촛불 켜고 자다 화재로 일가족이 참변을 당하고 밀린 집세에 짓눌려 동반자살로 마감하는 비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상위계층 대학생에게까지 등록금 절반씩을 안겨주는 것은 정의가 아니다. 1990년대 초반의 대학재정은 지금보다 열악했고 장학금도 훨씬 적었다. 당시 필자는 학과장을 맡고 있었는데 재학생 1500명 학과에 성적장학생 10명이 배정되는 형편이었다. 성적순으로 수혜자가 결정되기 때문에 형편이 다급한 학생을 위해 성적우수자 중에서 양보를 받아내야 했다.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학부모 직업에 대한 기록은 없었고 생활수준 자기평가에 ‘하’로 표시한 학생 이외에는 일일이 불러 양보를 종용했다. 부친이 공기업 임원임을 밝힌 학생이 먼저 양보했다. 그 학생은 지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다. 시골 출신 학생이 부모님 허락을 받겠다며 말미를 달라고 했다. 다음날 이른 아침 그 학생이 연구실로 뛰어와 부모님이 허락했다는 기쁜 소식을 전했다. 한참 세월이 흐른 후 그 학생 늦장가에 주례를 맡았는데 예식장에서 부친을 처음 대면하고 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