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지자체 할인율 대동소이…지역경기 부양효과 적어

    수도권의 이른바 ‘부자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들어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대폭 늘리고 있다. 반면 재정 형편이 빠듯한 비수도권 지자체는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줄이고 할인율도 축소하고 있다. 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취지의 지역화폐가 지역 불균형을 초래하고 지자체 간 ‘제로섬게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2025년 1월17일자 한국경제신문 -지역 내에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면 결제액의 최대 10%를 할인해주거나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상품권인 지역화폐가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지역화폐 확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핵심 경제 정책 중 하나로 매년 예산철마다 증액 또는 삭감을 두고 논쟁이 펼쳐지는 이슈도 그래서지요.시민들 입장에선 식비나 학원비 등 필수적으로 나갈 수밖에 없는 비용을 10% 절감할 수 있으니 지역화폐가 나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매년 찬반 논쟁이 벌어지는 덴 이유가 있겠지요. 오늘은 지역화폐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보겠습니다.지역화폐는 특정 지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화폐입니다.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제한되고, 전통시장·소규모 상점·동네 음식점 등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지역화폐엔 액면가 대비 5~10%의 할인율이 적용됩니다. 할인율이 10%이면 10만원권 지역화폐를 소비자가 9만원에 구매하는 식입니다. 할인율만큼의 비용은 지자체가 예산으로 부담합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부턴 국비 지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가 한창이던 2021년엔 국비 지원액이 1조2522억원에 달하기도

  • 숫자로 읽는 세상

    세계 백만장자 1년새 520만명 늘어…"코로나로 자산가치 급등"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순자산 100만달러(약 11억3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백만장자가 전 세계에서 520만 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여파에 각국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펴면서 금융자산, 부동산 등의 가치가 크게 높아진 영향이다. 한국의 백만장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5만여 명으로 집계됐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22일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가 발간한 ‘글로벌 자산 보고서’를 인용해 작년 말 기준 세계 백만장자 수가 1년 전에 비해 520만 명 증가해 5610만 명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는 세계 성인 인구의 약 1.1%를 차지한다. 글로벌 백만장자 비율이 성인 인구의 1%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작년 말 기준 순자산 5000만달러(약 568억원) 이상인 ‘슈퍼리치’는 21만5030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말 17만3620명에 비해 23.9%(4만1410명) 늘었다. 세계 상위 1%에 들기 위한 순자산 규모는 2019년 말 98만8103달러에서 지난해 말 105만5337달러로 다소 높아졌다.미국에선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2195만1000명이 백만장자로 추정됐다. 전 세계 백만장자의 39.1%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527만9000명), 일본(366만2000명), 독일(295만3000명), 영국(249만1000명) 순으로 백만장자가 많았다. 한국은 작년 말 기준으로 약 105만1000명의 백만장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1년 전에 비해 14만3000명가량 늘었다. 전 세계 백만장자의 약 2%를 차지했다. 국가별 순위로는 11위에 해당한다. 성인 인구 가운데 백만장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로 14.9%에 달했다. 호주(9.4%)와 미국(8.8%) 등이 뒤를 이었다.세계적으로 지난해 백만장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각국 중앙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유동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