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극값의 이해…'충분히 작다'면 얼마나 작아야 할까
‘충분히 작다’는 말은 언어적으로는 볼 때는 그 경계가 다소 불분명한 표현처럼 보이지만 수학에서는 명확히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 번째는 크기가 존재하므로 ‘0’은 아니라는 의미고, 두 번째는 필요한 만큼 얼마든지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수리논술의 논증 추론 문제에서 ‘충분히 작다’는 표현이 나오면 위와 같이 직관적이고 자명하게 이해되는 수학적 기본 공...
-
생글기자
'노키즈존' 논란, 해결 방법은?
최근 ‘예스키즈존(yes kids zone)’이라고 쓴 팻말을 내건 가게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는 일정 연령 이하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no kids zone)’에 반대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7년 노키즈존에 대해 ‘합리적 이유가 없는 평등권 침해’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자영업자의 영업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전히 높다. 어린아이를...
-
디지털 이코노미
노바티스가 디지털전환 전략을 급선회한 사연은?
국가와 기업 모두 마찬가지다. 디지털 전환에 아무리 투자해도 만족할 만한 진전이 이뤄지지 않는다. 스위스 제약회사 노바티스는 비슷한 실패를 경험한 수많은 기업 중 하나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 기술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데이터를 통합했으며 인공지능(AI) 전문가와 데이터 과학자를 채용했다.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했던 바람과 달리 조직의 비효율성은 더 커졌다.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 다행히 모든 프로젝트가 실패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 파일...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한국은행 의사결정기구
[문제]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비롯해 통화와 관련한 주요 정책을 결정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합의체 의사결정기구는? ① 금융위원회 ② 한국거래소 ③ 금융통화위원회 ④ 증권거래위원회 ⑤ 공개시장위원회 [해설] 중앙은행이 통화량이나 기준금리를 조절해 경기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통화정책이다. 이때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구가 바로 금융통화위원회다. 금통위는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치됐으며 통화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middo...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3일 (755)
1. 아마존 창업자다. 최근 법인세 인상 문제를 놓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개 설전을 벌인 사람은? ①일론 머스크 ②제프 베이조스 ③워런 버핏 ④제롬 파월 2.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핀란드와 스웨덴이 ‘이것’에 가입을 신청했다. 서방의 군사동맹인 이것은? ①세계무역기구(WTO) ②국가안전보장회의(NSC) ③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④북대서양조약기구(NATO) 3. 가상세계와 ...
-
대학 생글이 통신
교환학생 경험 덕분에 크게 성장했다는 생각 들어
작년 늦여름부터 지난 겨울까지 네덜란드에서 한 학기 동안 교환학생으로 보낸 경험을 얘기하려 합니다. 평소 언젠가는 해외에 나가서 생활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교환학생이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해외에서 생활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생각했기에 대학교 입학 이후부터 준비했습니다. 3학년 2학기에 교환학생으로 네덜란드에 가기로 계획한 뒤 틈틈이 여러 정보를 찾아보고, 공인 어학시험 공부와 회화 연습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상하지 못한 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ㄹ'의 아름다움 알린 정재도 선생
“우주를 이루는 천체가 모두 ‘ㄹ’로 이뤄져 있다. 하늘, 날(해), 달, 별…. 땅도 온통 ‘ㄹ’로 덮여 있다. 들, 길, 풀, 개울, 여울, 이슬, 노을….”(정재도 《우리말의 신비 ‘ㄹ’》) ‘ㄹ’은 우리말에서 닿소리(자음) 19개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다. 우리말을 빛나고 아름답게, 부드럽게 이끄는 ...
-
대입전략
첫해 1등급 내 변별력, 수학보다 국어가 더 커져…'언어와 매체' 응시 비중은 전년보다 더 높아져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국어, 수학이 대입에 끼치는 영향력은 더 커졌다. 최근 5개년의 상황을 살펴보면 표준점수 최고점과 1등급 커트라인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던 과목은 국어가 세 차례로 수학보다 많았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과 1등급 커트라인의 격차는 2019학년도 18점, 2021학년도 13점을 기록했고, 통합수능 첫해인 전년 다시 18점까지 벌어졌다. 같은 1등급이라고 해도 상단과 하단의 격차가 18점까지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