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종족·인종·영토·언어·종교는 민족 결정조건 아니다"…민족 이루는 요소로 더불어 살려는 '의지 공동체' 강조

    “민족은 인종에서 유래하는 것도, 언어로 구분되는 것도, 종교로 결속되는 것도, 국경선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민족이란 언제든지 새로 생겨날 수 있으며, 언젠가는 종말을 고하게 되는 개념일 뿐이다.”근대국가가 성립하면서 본격 등장한 ‘민족’이란 개념은 인류에게 수많은 갈등을 부추겼다. 민족이란 이름 아래 다른 민족을 대량 학살하는 비극도 적지 않았다. 민족을 구성하는 요인은 무엇이고, 순수한 단일 민족이라는 것이 가능한 건가. 프랑스 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에르네스트 르낭(1823~1892)이 이런 고민을 담아 펴낸 책이 《민족이란 무엇인가》다.르낭이 민족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한 계기는 1870년 발생한 프랑스-프로이센 간 전쟁이었다. 전쟁에서 이긴 프로이센은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제국’을 선포했다. 이와 함께 독일 민족주의가 전면에 부상했다. 독일은 게르만족이라는 혈통과 독일어라는 언어를 국가 구성요건의 핵심으로 삼았다. 르낭은 민족성의 원칙을 이렇게 인종과 언어에 두는 독일식 민족주의 원리가 틀렸음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종족이나 인종, 지리, 언어, 종교 등은 민족을 결정하는 조건이 아니라는 것이다.르낭은 “민족이 종족에서 유래한다는 믿음은 무의미하다”며 “유럽만 봐도 이 믿음의 오류는 명백하다”고 했다. 유럽은 로마제국 지배를 받던 당시 하나로 묶여 있었고, 이 국경선 안에서 수많은 민족이 몇백 년간 뒤섞였다. 로마제국이 해체된 이후에도 많은 전쟁과 이동을 통해 민족이 혼합됐다. 따라서 프랑스인은 켈트족이기도 하고, 이베리아족이기도 하며, 게르만족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탈리아

  • 교양 기타

    인구급증 따른 빈곤 불가피성 강조하며 미래 비관, 농업생산성 향상 간과…국가 개입주의 한계 지적도

    영국 경제학자인 토머스 맬서스(1766~1834)는 1798년 《인구론》을 펴냈다. 산업혁명으로 농촌 사람들이 계속 도시로 몰려들던 때였다. 급팽창한 도시는 혼란스러웠지만, 당시 유럽을 지배하고 있던 계몽주의 사상은 산업혁명과 과학 발달에 힘입어 사회가 더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었다.맬서스는 사회 주류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다. 《인구론》을 대표하는 문장인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난다”에서 보듯 미래를 비관적으로 봤다. 토지 자원은 유한한 만큼 식량 증산이 인구 증가를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이었다.그리고 그는 식량 부족이 초래할 빈곤은 자연적 조건에 의한 것이지 사회제도에 의한 것이 아니며, 인위적으로 구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맬서스는 일반 정서와는 다른 주장을 펼치는 데 대한 부담 때문에 《인구론》 초판을 익명으로 낸 뒤 2판부터 실명으로 출판하며 내용을 수정해 나갔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1883~1946)는 《인구론》의 가치를 “문장도 착상도 단순하지만, 여기에는 체계적인 경제학적 사고의 발단이 있고 인용할 만한 부분이 많다”고 했다.“식량부족 대비해 인구 급증 막아야”맬서스는 《인구론》 출판에 앞서 미국 정치가이자 과학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으로부터 통계자료를 받아 인구와 식량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의 ‘기하급수적 인구 증가와 산술급수적 식량 증산’ 결론은 그렇게 도출됐다. “25년마다 인구는 1, 2, 4, 8, 16, 32, 64, 128, 256, 512 식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1, 2, 3, 4, 5, 6, 7, 8, 9, 10 식으로 늘어난다. 따라서 225년 뒤에는 인구와 식량의 비율이 512 대 10이 될 것이다.”《인구론》은

  • 교양 기타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으면 도덕이 무엇이 중요한가"…거래와 분업·이익의 중요성 강조한 '조선판 국부론'

    “재물은 우물과 같다. 쓸수록 자꾸 가득 차고, 이용하지 않으면 말라 버린다. 지금 나라 안에는 비단을 입지 않으므로 비단 짜는 사람이 없다. 따라서 여공(女工)이 쇠했으며, 장인이 없어졌다. 이용할 줄 모르니 생산할 줄 모르고, 결국 모두가 가난해져 서로 도울 길이 없다.”조선 실학자 박제가(1750~1815)의 《북학의(北學議)》는 네 차례에 걸쳐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살펴본 뒤 쓴 책이다. 조선의 부국강병(富國强兵)을 꿈꾸며 개혁과 개방 청사진을 담았다. 성리학이 나라의 사상적 근간이던 시절 그는 상업과 유통, 대외무역의 중요성 등 경제 논리를 강조했다.제대로 된 경제 구조를 갖추지 못해 가난할 수밖에 없는 조선의 현실을 비판했다. 발상을 바꾸자는 것이었다. 소비를 진작하고 생산을 증진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자고 주장했다. 그는 “의식주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도덕이 무엇이 중요한가”라고 의문을 제기한 뒤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나라를 강성하게 하는 것을 학자가 추구해야 할 목표로 제시했다. 일종의 ‘조선판 국부론(國富論)’이다.서문에서 조선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했다. 그는 “지금 나라의 큰 병폐는 가난”이라며 “대궐의 큰 뜰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 거적때기를 깔고 있다. 궁문을 지키는 수비병마저 새끼줄로 띠를 만들어 매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가난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국과의 통상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조선은 청나라를 제외한 다른 나라와는 쇄국에 가까울 정도로 교역이 미미했다. 청나라와도 해로를 통한 교역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육로도 교역 물품 제한이 많아 ‘봇짐장사’ 수준밖

  • 교양 기타

    "기업가는 진취적이고 과감한 개인주의를 계승했다"…미국 발전의 원동력으로 자유주의와 개척정신 꼽아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이룩한 위대한 성과를 기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절대 과장이 아니다. 미합중국의 발전은 어느 인류사회의 발전보다 굉장히 신속했다. 북아메리카에는 지구상 최대 강국이 불과 한 세기 반 만에 들어섰다.” “미합중국은 초창기부터 필요에 따라 적합한 자유를 창조했고, 건국의 아버지들은 150년 동안 혁명을 겪지 않고 수정해나갈 수 있는 위대한 헌법을 제정했다. (중략) 미국은 성장의 포화점에 도달한 나라가 아니라, 꿈과 활기에 가득 차 있는 젊은 나라다.”프랑스 역사가이자 전기작가인 앙드레 모루아(1885~1967)의 《미국사》는 초강대국 미국의 역사를 사건과 인물 중심으로 서술한 명저다.개척자 정신으로 무장한 나라1943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미국사》 집필을 시작한 모루아는 “한 국가가 놀랄 만큼 급속히 발전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고 국민이 숭고한 이상을 현실화하는 방법을 밝혀보려는 의욕을 저버릴 수 없었다”고 서문에 썼다. 그는 이 책에 앞서 《영국사》 《프랑스사》도 펴냈다.“아메리카 대륙에서의 험난한 생활, 인디언과의 투쟁, 드넓은 토지, 상호 부조의 필요성 등이 정착민의 성향마저 바꿔놓았다. 관용을 베풀고 독립적이며, 억센 기질과 일에 대한 열정 및 체력의 차이 외에는 일체의 불평등을 허용하지 않는 개척자 정신이 등장한 것이다.”모루아는 《미국사》에서 1607년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으로 향한 143명의 이민자가 건설한 영국 식민지 제임스타운이 초강대국 미국으로 발전한 원동력으로 자유주의와 개척자 정신을 꼽았다. 그는 “변경의 미개척지에서 땅을 일구

  • 교양 기타

    "정치인은 대중에 아부하고 대중은 그런 사람을 선택"…'획일적 평등주의'를 문명사회의 최대 위험으로 지목

    “오늘날 우리는 이전 시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진화된 세계에 살고 있다. 하지만 대중은 이 세계가 탁월한 개인들이 이뤄낸 분투(奮鬪)의 산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복지 혜택에만 관심을 기울일 뿐 복지를 가능케 하는 개인의 창의성과 정당한 노력의 대가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대중은 그들이 추구하는 획일적 평등주의가 문명사회를 지탱하는 각종 시스템을 서서히 무너뜨린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대중의 반역》은 스페인 출신인 세계적 철학자 오르테가 이 가세트(1883~1955)가 일간지 ‘태양(El Sol)’에 기고한 글을 모아 1930년 단행본으로 엮은 책이다. 현대 대중사회의 속성과 본질을 정확히 꿰뚫었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 미국의 권위 있는 문예지 ‘애틀랜틱 먼슬리’는 “루소의 《사회계약론》과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18세기와 19세기를 대변한다면, 가세트의 《대중의 반역》은 20세기를 대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삶의 국유화’ 부르는 국가개입주의가세트가 분석한 대중은 ‘특별한 자질이 없는 평균인(平均人)의 집합체’다. 그런 대중이 민주주의 도입으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했고, 이제는 문명사회를 지배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대중의 반역’이라고 명명했다. 역사의식과 식견이 부족한 대중이 이끄는 정치가 인기영합 정책에 휘둘리는 중우정치(衆愚政治)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서다.“오늘날(1930년대) 유럽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사실 하나는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대중이 완전한 사회 주도세력으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유럽이 어느 민족과 국가도 겪어보지 못한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됐음을 의미한다

  • 교양 기타

    "경쟁의 역동성은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다"…자신의 낙오를 자본주의 탓으로 돌리지 말라고 강조

    “자유기업 정신과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길에 장애물을 덜 설치하려고 노력한 나라일수록 오늘날 더 번영하고 있다. 창의와 혁신이 가능한 자본주의만이 인류를 가난에서 구하고, 풍요와 번영을 가져다 주는 유일한 길이다.”오스트리아학파의 거두인 루트비히 폰 미제스(1881~1973)는 대표적 자유주의 경제학자로 꼽힌다. 그가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심리》를 쓴 것은 시장경제에 반대하는 기류가 곳곳에 퍼져있음을 안타까워했기 때문이다. 그는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의 공격을 방어하고, 사회주의는 소멸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그는 사회주의자들이 “시장경제 체제에서 대기업은 우월적인 지위를 이용해 산업 전체를 독점하면서 소비자가 그 피해를 본다”고 비판한 데 대해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과거 소수 철도회사들이 지나치게 비대해지면서 그들과 대항해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한 듯했다. 경쟁이 배제됐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운수 분야에서 자기 파멸 단계에 도달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그러나 버스, 트럭, 항공기 회사 등 새로 등장한 경쟁자들이 철도회사를 고전(苦戰)에 빠뜨렸고, 재기불능 상태로 몰아넣었다.”미제스는 “거대한 기업이 한 산업을 독점적으로 장악할 것이라는 우려는 시장을 움직이지 않는, 즉 정태적인 것으로 잘못 파악해 생긴 일”이라고 지적했다. 시장은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새로운 도전이 생겨나고, 그 결과 독점은 자연스럽게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자본주의가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데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불평등은 특정인에게만 법적인 특권

  • 교양 기타

    "인터넷이 되레 불통과 극단주의 부추겨 음모론 확산시킨다"…보고 싶은 것만 보고,믿고 싶은 것만 믿는 '확증편향성' 비판

    “동질적 집단은 극단으로 흐르기 쉽다. 광신집단을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집단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것이다. 구성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외부 정보를 불신하게 된다. 토론을 거듭할수록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확증편향성(確證偏向性)이 강화되기 때문이다.”캐스 선스타인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는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Going to Extremes)》에서 집단사고의 위험을 경고했다. 끼리끼리 모여 의견을 나누면 여러 의견을 절충해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기보다 오히려 더 극단적인 입장을 갖는 경향이 있어서다. “실험 결과 인종적 편견이 있는 백인들은 토론을 거친 뒤 인종적 편견이 심해졌다. 구성원의 교양 수준은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방판사들조차도 비슷한 성향끼리 재판부를 구성할 때 더 편향적인 판결을 내렸다.”폐쇄성이 키우는 괴담과 증오법학자이자 인간행동 연구 분야 석학인 선스타인은 《루머(On Rumours)》 등을 통해 집단사고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분석했다. 국내에서 그는 리처드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2017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넛지(Nudge)》를 함께 쓴 공동 저자로 잘 알려져 있다.선스타인은 소통 창구인 인터넷이 되레 불통과 극단주의를 부추겨 음모론과 증오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람들은 자기 입장과 가장 잘 들어맞는 토론방을 검색하고 선택한다. 자기 생각과 맞지 않는 토론방은 떠난다. 비슷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끼리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사고는 극단으로 치닫는다.”선

  • 교양 기타

    생물학적 결정론으로 만들어진 '신세계' 불행 그려…과학의 진보와 전체주의 밀착이 빚어내는 비극 풍자

    “신세계에선 누구도 불행하지 않다. 굶주림과 실업, 가난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질병도, 전쟁도 없고 누구도 고독하거나 절망을 느끼지 않으며 불안해하지도 않는다. 아아, 얼마나 신기한가. 이런 사람들이 모여 사는 멋진 신세계여!”올더스 헉슬리(1894~1963)의 《멋진 신세계》는 조지 오웰의 《1984》, 예브게니 자먀찐의 《우리들》과 함께 세계 3대 ‘디스토피아(사회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극대화돼 나타나는 어두운 미래)’ 소설로 꼽힌다. 1932년에 출판된 《멋진 신세계》는 역설적 표현이다. 과학의 진보가 전체주의, 인간의 오만함과 밀착할 때 어떤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1차 세계대전 뒤 파시즘 등장을 지켜본 유럽인의 절망감과 불안감이 담겨 있다. 이 소설은 국가 권력이 시민들의 정신을 완벽하게 장악하고, 극도로 발전한 과학기술 문명을 통제하는 계급사회를 그렸다. ‘자동차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가 태어난 해인 1863년을 인류의 새 기원으로 삼았다. 작품 속 배경은 포드 기원 632년(서기 2496년)의 영국이다.인간을 대량 생산하고 감정도 조절헉슬리가 ‘포드 기원’을 채택한 것은 포드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서구 경제를 가장 혁명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봤기 때문이다. 신세계에선 모든 것이 ‘포드주의’에 따라 자동 생산된다. 무스타파 몬드 총통이 전 세계를 정복해 단일 독재국가로 만들었다. ‘공유, 안정’이 이곳의 표어다. 인간을 대량 생산할 뿐만 아니라 그 품질을 조절해 사회구성원을 독재자의 의도대로 만들어낸다. 구성원들은 이를 문명사회, 신세계로 받아들인다.신세계에서 인간은 ‘보카노프스키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