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아빠의 한 시간'과 행복의 나이테

    나이 이븐 하즘 사람들이 가끔 묻는다네. 희끗희끗한 귀밑머리와 이마에 팬 내 주름살을 보고는 나이가 몇이나 되냐고. 그럴 때 난 이렇게 대답하지. 내 나이는 한 시간이라고. 여태까지 살아온 세월을 헤아리고 그 모든 걸 다 합친다 해도 말이야. 아니 뭐라고요? 사람들은 깜짝 놀라면서 또 이렇게 되묻는다네. 그런 셈법을 진짜로 믿으라고요? 그러면 나는 얘기하지. 이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사람이 어느 날 내 품에 살짝 안겨 은밀하게 입을 맞춘 그 순간, 지나온 날들이 아무리 많아도 나는 그 짧은 시간만을 나이로 센다고. 정말 그 황홀한 순간이 내 모든 삶이니까. * 이븐 하즘(994~1064) : 중세 스페인 시인이자 역사가·법학자 누구에게나 있지요. 아무도 모르는 은밀한 입맞춤처럼 ‘짧지만 영원한’ 순간의 아름다움! 시인 이븐 하즘은 바로 그 ‘순간’들이 모여 세월의 지층을 이루고, 그 단면에 새겨진 행복의 나이테가 곧 ‘내 삶의 전부’가 된다고 말합니다. 이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영국에서 이런 질문으로 현상 공모를 한 적이 있는데, 1등은 ‘해변에서 가족과 함께 모래성을 쌓고 있는 어린이’였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집안일을 마치고 휘파람을 불며 아기를 목욕시키는 사람, 작품 완성을 눈앞에 두고 붓에 물감을 묻히는 화가,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땀을 닦는 외과 의사가 꼽혔습니다. 바닷가에서 평화롭게 모래성을 쌓는 아이의 표정을 한번 떠올려보세요. 쉬는 날 한가롭게 집 안 정리를 끝내고 사랑스러운 아기를 목욕시키는 사람은 또 어떤가요. 콧노래나 휘파람이 절로 나오게 됩니다. 온 정신을 집중해 그림을 그리면서 마지막 ‘화룡점정’의 순간을 앞

  • 교양 기타

    바위를 뚫은 화살, 1초에 200번 날갯짓하는 꿀벌 …

    수확과 장미꽃 에드가 게스트 규모가 작든 크든 온갖 꽃들이 피어나는 정원을 갖고 싶다면 허리 굽혀 땅을 파야 한다. 원한다고 해서 그냥 얻어지는 건 이 세상에 없으니, 우리가 원하는 그 어떤 가치 있는 것도 반드시 노력해서 얻어야 한다. 그대가 무엇을 추구하든지 간에 그 속에 감춰진 원리를 생각하라. 수확이나 장미꽃을 얻기 위해서는 누구나 끊임없이 흙을 파야만 한다. * 에드가 게스트(1881~1959) : 미국 시인 한(漢)나라 때 이광이라는 명장이 있었습니다. 그의 활쏘기 능력은 아주 뛰어났습니다. 어느 날 그가 사냥을 나섰다가 길을 잃었는데, 풀숲에서 커다란 호랑이가 자신을 노려보고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깜짝 놀란 그는 온 신경을 집중하고 호랑이를 향해 활시위를 당겼습니다. 그러나 화살에 맞은 호랑이는 꿈쩍도 하지 않았습니다. 어찌 된 일일까요. 그는 천천히 호랑이에게 다가갔습니다. 가까이 가서 보니 그건 호랑이가 아니라 호랑이 모양을 한 바위였습니다. 믿을 수 없었지만, 그가 쏜 화살은 바위에 박혀 있었지요. 정신을 가다듬은 그는 다시 한번 바위를 향해 화살을 날려보았습니다. 그런데 화살은 튕겨 나가고 화살대마저 부러져버렸습니다. 그가 집에 돌아와 이 일을 말했더니 이런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쇠붙이나 돌덩이라도 능히 뚫을 수 있다네.”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고 했던가요. 어느 것이든 거기에 미치지 않으면 최고의 경지에 다다를 수 없습니다. 뭘 해도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미칠 만큼의 열정으로 해야 결실을 볼 수 있지요. 이왕 해야 할 일이라면 죽기 살기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해내는 일과 최선을 다해 완수하는 것의 결과는 확연히

  • 교양 기타

    가려운 데 말고 엉뚱한 데를 긁는 사람

    이 가려움 김우태 코뿔소가 씨잉 바람을 가르며 나무둥치를 들이받는 것은 코끝이 불현듯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벚나무가 송글송글 꽃망울을 매달고 허공을 어루만지는 것은 뿌리가 갑자기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른 아침 동네 할아버지들이 나무둥치에 등을 비벼대는 것도 생이 참을 수 없이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가려워서 잠 못 이루는 사람들 복권을 긁듯 뼛속까지 시원히 긁어보지만, 긁을수록 온 몸 번져 나는 꽃 반점 가려움은 끝내 재울 수 없다. 하느님도 가려우신지 봄밤 대책 없이 툭툭 불거지는 저 별들 어찌할꼬! * 김우태 : 1964년 경남 남해 출생. 부산대 국문과 졸업. 198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 시집 등. 오월문학상 수상. 김우태 시인은 1989년 등단한 이후 28년 만에 첫 시집을 펴낼 정도로 우직한 사람입니다. 그는 “대학 졸업반 때 처음 응모한 신춘문예에 덜컥 당선된 뒤 오히려 백지가 두려워졌다”며 “막연히 꿈꾸던 시인이 됐지만, 자신을 드러내는 게 겁이 나서 시를 쓰지 못하고 한동안 ‘사막’을 헤매고 다녔다”고 말합니다. ‘시가 내리지 않는 백지는 절벽보다 캄캄하다./새가 깃들지 않는 숲이 사막보다 적막하듯이//모래시계가 열두 번,/사막의 밤을 뒤집을 동안/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떨고 섰는 낙타야!/잔뜩 짐을 진 너의 잔등은/허물어진 사원의 종루(鐘樓)처럼 힘겹게 솟아 있구나.’(‘백지 앞에서’ 부분) 다시 시를 쓰게 된 것은 결혼하고 자식을 셋이나 낳은 뒤부터였지요. 그는 “세월이 흐르면서 인간이 완전할 때 시를 쓰는 게 아니라 모자란 상태에서 좀 더 완전에 가까워지기 위해, 팽팽하게 긴장된 삶의 줄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쓸 때 쓰게 된다는

  • 교양 기타

    사람을 알아보는 두 개의 눈 '안목(眼目)'

    낡은 벼루 구양수 흙벽돌이나 기와가 하찮은 물건이지만 붓과 먹 함께 문구로도 쓰였다네. 물건에는 제각기 그 쓰임이 있나니 밉고 곱고를 따지지 않는다네. 금이 어찌 보물이 아니고 옥이 어찌 단단하지 않으랴만 먹을 가는 데에는 기와 조각만 못 하다네. 그러니 비록 천한 물건이라도 꼭 필요할 땐 그 값을 견주기 어려운 줄 알겠네. 어찌 기와 조각만 그렇겠는가. 사람 쓰는 일 옛날부터 어려웠더라네. * 구양수(歐陽脩, 1007~1072) : 송나라 문인 겸 정치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으며, 문구 살 돈이 없어 어머니가 모래 위에 써준 갈대 글씨로 공부했다. 북송 황제 휘종은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습니다. 그중에서도 그림 보는 눈이 유난히 밝았다고 합니다. 한번은 화가들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독특한 그림 문제를 냈습니다.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췄다’는 주제로 그림을 그리되 특히 ‘감춰진 절’을 제대로 표현하라.” 많은 화가가 골머리를 앓다가 희미하거나 작은 절을 그려 놓는 식으로 묘사했지요. 그런데 유독 한 작품에만 절이 그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절 대신에 깊은 산속 계곡에서 물동이를 이고 가는 스님 모습만 있었죠. 이 그림을 본 휘종은 그에게 1등 상을 주었습니다. 다른 화가들은 절과 탑을 어떻게든 화폭에 담으려고 했지만, 그는 그냥 물을 길어 가는 스님 모습만으로 근처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암시했지요. 이처럼 눈에 보이는 것에 집착하지 않고 그 이면에 숨은 뜻이나 가치를 제대로 찾을 줄 아는 게 곧 ‘안목(眼目)’입니다. 한 단어에 ‘눈 목(目)’ 자가 두 개나 들어 있습니다. 하나는 겉으로 보는 눈이고 하나는 속을 비추는 거울이죠. ‘

  • 이력(履歷)은 내 신발(履)이 걸어온 역사

    구두를 위한 삼단논법 윤성학 갈빗집에서 식사를 하고 나오다가 신발 담당과 시비가 붙었다 내 신발을 못 찾길래 내가 내 신발을 찾았고 내가 내 신발을 신으려는데 그가 내 신발이 내 신발이 아니라고 한 것이다 내가 나임을 증명하는 것보다 누군가 내가 나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 더 참에 가까운 명제였다니 그러므로 나는 쉽게 말하지 못한다 이 구두의 이 주름이 왜 나인지 말하지 못한다 한쪽 무릎을 꿇고 앉아 꽃잎 속에 고인 햇빛을 손에 옮겨 담을 때, 강으로 지는 해를 너무 빨리 지나치는 게 두려워 공연히 브레이크 위에 발을 얹을 때, 누군가의 안으로 들어서며 그의 문지방을 넘어설 때, 손닿지 않는 곳에 놓인 것을 잡고 싶어 자꾸만 발끝으로 서던 때, 한 걸음 한 걸음 나를 떠밀고 가야 했을 때 그때마다 구두에 잡힌 이 주름이 나인지 아닌지 나는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우두커니처럼…… 더 열심히 그 순간을 사랑할 것을…… 모든 순간이 다아 꽃봉오리인 것을, 내 열심에 따라 피어날 꽃봉오리인 것을 * 윤성학 : 1971년 서울 출생.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200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시집 등 출간. 익숙한 광경이죠? 식당에서 가끔 겪는 ‘신발 주인’ 논쟁. 윤성학 시인도 그랬나 봅니다. ‘구두를 위한 삼단논법’은 그가 서울 충무로의 한 돼지갈빗집에서 저녁을 먹고 나오다 ‘신발 소동’을 겪고 난 뒤에 쓴 시입니다. 그 집에는 신발 벗는 곳에 남자 직원이 지키고 서서 손님이 앉는 자리를 보고 그 번호에 해당하는 선반에 신발을 놓아주었지요. 저녁을 먹고 나오는데 그날따라 사람이 많아서인지 신발 담당 직원이 그에게 낯선 신발을 내려놓았습니다. “어? 이거 내 신발

  • 교양 기타

    최선과 최고…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정현종 나는 가끔 후회한다. 그때 그 일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그때 그 사람이 그때 그 물건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더 열심히 파고들고 더 열심히 말을 걸고 더 열심히 귀 기울이고 더 열심히 사랑할 걸…… 반벙어리처럼 귀머거리처럼 보내지는 않았는가 우두커니처럼…… 더 열심히 그 순간을 사랑할 것을…… 모든 순간이 다아 꽃봉오리인 것을, 내 열심에 따라 피어날 꽃봉오리인 것을! * 정현종 : 1939년 서울 출생. 연세대 철학과 졸업. 196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등 출간. 이산문학상,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미당문학상 등 수상. 후회는 꼭 뒤늦게 옵니다. 하루하루 순간순간이 삶의 ‘노다지’인 줄 한 참 뒤에야 깨닫게 되지요. 그때 ‘더 열심히 파고들고’ 그 사람에게 ‘더 열심히 귀 기울이고, 더 열심히 사랑할걸’ 하고 뉘우쳐 보지만 지나간 시간은 다시 오지 않습니다. 늦게라도 그걸 알았으니 얼마나 다행인가요. 어쩌면 남보다 빨리 발견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깨달은 사람은 어떤 땅에서도 꽃을 피워낼 수 있는 사람이지요. 옛사람들은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고 해서 어떤 일에 미치지 않고는 그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200년 전에도 그런 ‘미친’ 사람들이 많았지요. 타고난 재주는 없었지만 남보다 몇십, 몇백 배 노력해 일가를 이룬 인물들…. 그중에 머리가 너무 나빠 고생하면서도 엽기적인 노력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당대 최고 시인의 반열에 오른 김득신(1604~1684)이 있습니다. 그는 나이 스물이 되어서야 겨우 글 한 편을 지을 정도로 ‘둔재’였지요. 우여곡절 끝

  • 교양 기타

    물메기국 넘어가는 소리에 목이 메던 풍경

    아버지의 빈 밥상 고두현 정독도서관 회화나무 가지 끝에 까치집 하나 삼십 년 전에도 그랬지 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 토담집 까치둥지 어머니는 일하러 가고 집에 남은 아버지 물메기국 끓이셨지 겨우내 몸 말린 메기들 꼬득꼬득 맛 좋지만 밍밍한 껍질이 싫어 오물오물 눈치 보다 그릇 아래 슬그머니 뱉어 놓곤 했는데 잠깐씩 한눈팔 때 감쪽같이 없어졌지 얘야 어른 되면 껍질이 더 좋단다 맑은 물에 통무 한쪽 속 다 비치는 국그릇 헹구며 평생 겉돌다 온 메기 껍질처럼 몸보다 마음 더 불편했을 아버지 나무 아래 둥그렇게 앉은 밥상 간간이 숟가락 사이로 먼 바다 소리 왔다 가고 늦은 점심, 물메기국 넘어가는 소리에 목이 메기도 하던 그런 풍경이 있었네 해 질 녘까지 그 모습 지켜봤을 까치집 때문인가, 정독도서관 앞길에서 오래도록 떠나지 못하고 서성이는 여름 한낮. * 고두현 시인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으로 등단. 시집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그날 정독도서관 앞 회화나무 아래에 한참 서 있었습니다. 수령 300년이 넘은 나무의 짙푸른 녹음과 가지 위에 초가집처럼 얹힌 까치둥지 때문이었을까요. 어릴 적 밥상 풍경이 떠올랐습니다. 초등학교 5~6학년 무렵이었지요. 그때 우리 식구는 남해 금산 보리암 아래 토담집에 살았습니다. 집도 절도 없어서 오랫동안 절집에 얹혀살다가 계곡 옆에 작은 흙집을 마련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죠. 마당 가 평상에 앉아 점심을 먹는데 키 큰 회화나무 가지 위의 까치집이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었습니다. 밥상은 대부분 아버지가 차렸지요. 어머니는 몸이 좋지 않은 아버지를 대신해 절집이나 산 아랫마을로 일을 나가는 날

  • 교양 기타

    진짜 성공이란 바로 이런 것

    성공이란 랠프 월도 에머슨 날마다 많이 웃게나. 지혜로운 사람에게 존경받고 해맑은 아이들에게 사랑받는 것, 정직한 비평가들에게 인정받고 거짓된 친구들의 배반을 견뎌내는 것, 아름다움의 진가를 발견하고 다른 사람의 장점을 알아보는 것, 튼튼한 아이를 낳거나 한 뼘의 정원을 가꾸거나 사회 환경을 개선하거나 무엇이든 자신이 태어나기 전보다 조금이라도 나은 세상을 만들어 놓고 가는 것, 자네가 이곳에 살다 간 덕분에 단 한 사람의 삶이라도 더 풍요로워지는 것, 이것이 바로 성공이라네. * 랠프 월도 에머슨 : 미국 시인(1803~1882) 2021년 4월 선종하신 정진석 추기경을 떠올리며 ‘옴니버스 옴니아(Omnibus Omnia: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을 준다)’의 뜻을 다시 새겨봅니다. 정 추기경은 생의 마지막에 장기까지 기증하며 모든 것을 주고 갔습니다. 그를 생각하며 또 한 사람의 신부를 떠올립니다. 그는 실화영화 ‘나초 리브레’의 주인공 신부입니다. 1998년 5월 멕시코시티. 프로레슬링 경기장을 가득 메운 관중이 한 레슬러의 은퇴식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늘 황금색 가면으로 얼굴을 가린 채 경기를 해온 그는 이제 53세의 중년이 되었지요. 그가 링에 오르자 박수와 환호가 동시에 터졌습니다. 박수가 잦아들 즈음 그는 황금가면을 천천히 벗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보는 광경에 사람들은 숨을 죽였지요. 마침내 황금가면을 벗은 그가 말했습니다. “여러분, 감사합니다. 저는 작은 가톨릭교회의 신부 세르지오 구티에레스입니다. 프로레슬링을 하는 동안 저는 보육원 아이들을 경제적으로 도울 수 있었고, 그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한동안 정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