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고통받는 터키 국민들
물가 36% 상승, 환율 두 배 상승. 터키의 최근 경제 상황이다. 하루가 다르게 물가가 오르면서 터키 국민은 기본적인 식품과 의약품도 제대로 못 구하고 있다. 달러 대비 리라화 환율 급등으로 수입품 가격이 상승해 이런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환율 상승이 수출에는 도움을 주고 있지만 터키의 주요 수출 품목은 수입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한다. 수출이 늘어나는 만큼 수입 비용 부담도 커지는 구조다. 지난 연말 환율이 소폭 하락하기...
-
생글기자
오미크론 방역대책이 신뢰를 얻으려면
청소년 방역패스는 필요한 것일까. 방역당국은 청소년 방역패스 시행 계획을 내놓으면서 오는 3월 새 학기에 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0%대에 그쳤던 13~18세 청소년 백신 접종률은 최근 1차는 80%, 2차는 70% 수준까지 높아졌다.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하는 등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되는 조짐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데다 정부 당국이 방역패스 적용 방...
-
영어 이야기
be동사는 주어와 술어의 연결 고리일 뿐 그 자체로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아요
The home environment is of principal importance during these years [from birth to about 3 years] since much of the infant’s time is spent in that situation. However, over the past few decades care-giv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infants hav...
-
대입전략
의대 3015명 등…의약학계열 6599명 선발, 지역인재 40% 이상 뽑아…모집인원 더 늘듯
올해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 모집인원은 전형계획안 정원 내 기준으로 총 6599명에 이른다. 고른기회, 농어촌전형 등 정원 외까지 합하면 7000명 수준에 달한다. 의대(39개교) 선발인원이 정원 내 3015명으로 가장 많고, 약대(37개교)가 1743명, 한의대(12개교)가 715명, 치대(11개교)가 630명, 수의대(10개교)는 496명을 선발한다. 의약학계열 대학은 지역별 의료 인력의 균형적인 양성을 위해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중과세(二重過歲)'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
코로나 3년째로 접어드는 올해 설맞이는 확실히 예년과 다른 모습이다. 온라인 추모는 물론 세배 등 설인사도 비대면으로 하는 데 점점 익숙해져 가는 듯하다. 강릉에선 441년을 이어온 합동세배행사 ‘도배례’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올해도 취소됐다는 소식이다. 대면으로 하든 영상으로 하든 설은 설이다. 세배도 해야 하고 새해 인사도 드려야 한다. 양력 1월1일은 ‘새해 첫날’ … 명절 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인플레이션
[문제] 공급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통화량 증가 ②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③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 ④ 환경보호에 대한 국민의 인식 증대 ⑤ 노동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 상승 [해설]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는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등이 있다. 공급 측면에서 총공급의 감소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대표적인 요인으로 원...
-
커버스토리
'수포자'였던 영문과 교수가 AI 연구…수학에 눈뜨니 다른 세상이 보이네요
인공지능(AI)은 수학의 집합체다. AI에 필수적인 데이터 처리, 머신러닝 등은 함수, 미분, 확률 등 수학을 바탕으로 한다. 그런 AI를 문과생이 개발한다면 곧이곧대로 믿어지지 않는다. 남호성 고려대 영어영문학과 교수가 설립해 이끌고 있는 남즈연구소는 AI에 필요한 음성 인식, 음성 합성 등의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연구원 30여 명 중 이공계 출신은 한 손에 꼽을 정도다. 남 교수부터 문과 출신이고, 대부분 영문과 국문과 등 인...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귀납적 추론의 시작…경우의 수를 세다
어떤 규칙을 일반화할 때 경우의 수를 따져보는 것부터 시작하게 된다. 수리논술에서도 소문항 1, 2번 등에서 주로 경우의 수를 묻는 문제가 출제된다. 경우의 수를 묻는 문제는 대개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출제되는데 첫 번째는 수험생들에게 경우의 수를 따져보면서 문제의 구조와 출제 의도를 파악하게 하려는 것이고, 두 번째는 그것으로부터 일반화된 규칙, 즉 귀납적 추론을 할 수 있는가를 보기 위함이다. 포인트 경우의 수, 즉 개별 사실로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