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러시아 공급 중단에 1년 새 10배 뛴 천연가스…유로화는 20년 만에 최저, 또 1달러 밑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러시아가 오는 31일부터 사흘간 유럽으로의 가스 공급을 중단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후 공급을 재개하겠다고 했지만 언제든 다시 끊길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최근 1년 새 10배 넘게 급등했다. 유럽 경제의 취약성이 드러나면서 달러 대비 유로화 가치는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지난 22일 영국 런던ICE거래소에서 ‘네덜란드 TTF 가스 선물(9월물)’ 가격은 ㎿h당 280.235유로를 기록했다. 전 거래일 대비 15% 올랐다. 지난해 8월 24일 가격(27.635유로)의 10배를 넘긴 것이다. 이날 장중엔 21% 오른 295유로까지 치솟기도 했다.난방으로 에너지 수요가 많을 때 인도되는 12월 인도분 가격은 300.75유로까지 올랐다. 네덜란드 TTF 가스 선물은 유럽 천연가스 가격을 평가하는 척도로 간주된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인 2월 중순만 해도 천연가스 가격은 80유로를 밑돌았다. 하지만 전쟁이 터지면서 3월 초 이 가격은 장중 300유로까지 치솟았다. 이후 전황이 정체되면서 90유로 밑으로 내려갔던 천연가스 가격은 6월부터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산 가스의 유럽 공급을 담당하는 가스프롬이 지난 6월 독일과 이어진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의 하루 가스 공급량을 공급능력(1억6700만㎥)의 40%(6700만㎥) 수준으로 줄인 여파였다. 지난달 27일엔 20%(3300만㎥) 수준으로 공급량을 더 줄였다.러시아는 가스 공급을 쥐락펴락하고 있다. 가스프롬은 19일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사흘간 정비를 위해 노르트스트림1을 폐쇄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비 후 기술적 문제가 없으면 공급능력의 20% 수준으로 가스를 공급하기로 했다.이 같은

  • 경제 기타

    베네수엘라와 한국

    남미의 베네수엘라는 최대 석유 자원 보유국이다. 어느 정도 많은가 하니, 현재 기술로 채굴 가능한 원유 매장량만 3000억 배럴 이상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확인된 매장량의 20%에 가깝다. 하지만 베네수엘라에서 석유는 정작 ‘악마의 배설물’로 불린다. 기름 한 방울 나오지 않는 우리로서는 몹시 부러운 일이지만 왜 그들은 자국에 막대한 부를 안겨다 주는 석유를 그리 험한 이름으로 부르는 걸까? 이를 이해하려면 베네수엘라가 빠진 ‘자원의 저주’를 알아야 한다.자원이 저주한 나라 ‘베네수엘라’자원의 저주는 나라에 자원이 풍부할수록 경제성장은 둔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풍부한 자연 자원에 비해 국민소득이 낮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등이 좋은 예다. 자원의 저주는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은 물론 선진국에서도 발생한다. 1950년대 말 네덜란드는 북해에서 천연가스 유전을 발견해 막대한 수입을 올렸는데 그 바람에 통화 가치가 상승, 자국의 제조업이 붕괴했다. 이를 회복하는 데 30년 가까이 걸렸다. 이른바 ‘네덜란드 병’이다.베네수엘라도 이와 비슷한 경우다. 오일 머니로 너무 쉽게 돈을 버는 탓에 석유를 파는 것 말고는 특별히 내놓을 만한 산업이 없다. 기업들은 기술 개발이나 혁신 의지가 없고 국민들은 노동 의욕이 없어 국가는 돈을 벌지만 정작 국민들은 가난한 삶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자원이 하나도 없는 나라 ‘한국’흔히 한국을 자원이 부족한 나라라고 한다. 석유와 같은 자연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 비교할 때 자주 나오는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식민 지배와 6·25전쟁으로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은 상

  • 생글기자

    유한하고 편재된 자원의 무기화에 대비해야

    자원은 유한성과 편재성 그리고 가변성을 갖고 있다. 이 말을 풀어보면 자원의 양에는 한계가 있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인간의 욕구에 비해 양이 부족하며 시대, 기술, 대체자원의 발생에 따라 자원의 가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원의 무기화는 자원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나라에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자원의 무기화 사례로는 중국의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제한 사례가 있다. 2010년 중국의 어선이 중국과 일본의 영토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 들어와 일본 해상보안청이 검문에 나섰는데 중국 어선이 도주하였고, 일본은 이 배를 나포해 중국인 선장을 체포했다. 중국은 이에 대해 강경하게 반발하였다. 중국 정부는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 희토류는 배터리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97%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자제품이 주요 수출품인 일본으로서는 큰 타격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위기를 느낀 일본을 중국인 선장을 석방하였다. 일본은 자원을 무기로 삼아 공격당했기 때문에 질 수밖에 없었다.우리나라는 자원에 대한 자체 생산량이 많이 없어 타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자원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을 이용해 정치적, 경제적으로 활용한다면 우리나라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자원의 무기화를 대비하고, 자원 수입 의존도를 낮추어야 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해외 광산 개발과 채굴권 구입에 나서는 등 자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필수 자원의 대체재 개발에도 힘껏 나서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