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烏合之衆 (오합지중)

    ▶한자풀이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갈 지    衆: 무리 중까마귀 떼처럼 어지러이 모인 무리조직이나 구심점 없는 무리를 이름   -<후한서(後漢書)>전한(前漢) 말 대사마(국방부 장관 격) 왕망(王莽)은 평제를 죽이고 나이가 어린 영을 새 황제로 삼았다. 3년 후에는 영을 폐한 뒤 국호를 신(新)으로 바꾸고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하지만 민심 이반으로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때 유수(劉秀: 후한의 시조)가 군사를 일으켜 왕망 일당을 물리치고 유현(劉玄)을 황제로 세워 한나라를 다시 회복했다. 이듬해 왕랑(王郞)이란 자가 성제의 아들 유자여(劉子與)를 자처하며 황제를 참칭(분수에 넘치게 스스로를 황제라 이름)하자 대사마가 된 유수가 반란군 토벌에 나섰다.장수 경감(耿龕)이 평소 덕망을 흠모한 유수에게로 가는 도중 부하 장수 손창과 위포가 왕랑에게로 가려 했다. “유자여는 한 왕조의 정통인 성제의 아들이라 하는데, 그를 도와야 하지 않겠소.”두 장수의 말에 격노한 경감은 칼을 뽑아 들고 말했다. “왕랑이란 자는 본래 도적인데, 스스로 유자여라 하면서 황제를 사칭(詐稱)하고 난을 일으켰다. 내가 장안에 가서 정예군으로 공격하면 왕랑 군사와 같은 오합지중(烏合之衆)을 짓밟기란 썩은 나무를 꺾는 것과 같아서 왕랑을 반드시 사로잡을 것이다. 너희가 도리를 모르고 적과 한패가 된다면 얼마 가지 않아 일족(一族)이 몰살을 당할 것이다.”두 장수는 끝내 그날 밤에 왕랑에게로 갔지만 경감은 뒤쫓지 않고 토벌군에 합류해 큰 공을 세워 건위대장군에 임명됐다.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 송의 범엽이 편찬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