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시대 기술의 의미

    과학은 근대 세계를 이끌어가는 핵심 동력이다. 모더니즘 사상은 과학이 기술을 낳고, 사회 변화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사를 되돌아보면 과학은 기술혁신과 무관했다. 과학적 발견은 르네상스 시대의 화약 무기나 궁전 건축기술 개발과 무관했고, 네덜란드 상업시대에 목재를 사용한 조선술이나 설탕 정제업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산업혁명 시기의 증기 추진식 공장 역시도 과학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이야기하기 어렵다. 이런 현상을 과학사학자 L. J. 핸더슨은 “증기기관이 과학에 진 빚보다 과학이 증기기관에 진 빚이 더 크다”고 표현한다. 과학과 기술과학은 많은 기술 분야에서 분명 유용하지만, 기술개발을 위한 필수도, 핵심요소도 아니다. 공학, 경제학, R&D 예산과 함께 기술을 구성하는 한 부분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이 주도하고, 영국과 캐나다가 공동으로 참여했던 원자폭탄 개발 프로그램인 ‘맨해튼 프로젝트’에서도 원자과학자들이 중심인 듯 보이지만, 실제 예산의 많은 부분은 실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이스트먼 코닥, 유니언카바이드, 앨리스 차머스, 듀폰 등의 기계공정과 대량생산에 투입됐다. 이처럼 과학자 외에도 엔지니어, 자본가, 정부, 노동자, 소비자 모두가 과학만큼이나 기술개발에 중요한 요인들이다. 특히 자연발생적이지 않은 물질의 속성을 살펴보는 경우 기술이 전혀 새로운 과학적 연구대상을 발견하는 경우도 흔하다. 기술과 사회·문화언제부터인가 기술은 경제성장의 바람직한 도구로만 평가돼왔다. ‘과학은 발견하고, 산업은 적용하며, 인간은 순응한다’는 1933년 시카고 세계박람회의 구호가 이를 대변한다.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