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요기요 배달기사·타다 운전기사는 근로자일까 자영업자일까?

    1920년대 미국 재즈클럽에선 ‘긱(gig)’이라는 공연이 자주 열렸다. 밴드 멤버를 미리 짜지 않고, 공연장 주변에서 연주자를 그때그때 섭외해 펼치는 즉석 합주다. 100년 가까이 지난 지금, 긱은 지구촌 곳곳에서 뜨거운 화두로 다시 떠올랐다. 승차공유, 음식배달 같은 O2O(온·오프라인 연계) 플랫폼을 타고 급성장한 ‘긱 이코노미’ 때문이다.스마트폰 들고, 일하고 싶을 때 일한다긱 이코노미는 정보기술(IT) 플랫폼을 활용해 원할 때 자유롭게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가 늘어나는 경제 현상을 뜻한다. 우버나 타다의 운전기사, 배달의민족이나 요기요에서 주문한 음식을 나르는 배달기사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들은 일반적인 직장인처럼 오전 9시에 출근해 오후 6시에 퇴근하지 않는다.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 근무한다. 쉽게 말해 IT 플랫폼을 활용해 일하는 ‘자발적 비정규직’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번역, 마케팅 등 전문 분야 프리랜서를 연결해 주는 앱(응용프로그램)도 여러 나라에서 인기다.지난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긱 이코노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1개국 근로자를 조사한 결과 플랫폼에서 구한 일자리를 본업으로 삼은 사람은 미국 영국 독일 등 선진국에선 1~4%에 그쳤다. 본업은 따로 있고, 부업 삼아 추가 수입을 올리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얘기다.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에선 긱 이코노미로 부수입을 올린다는 비중이 30%를 훌쩍 넘었다. 누구나 자신의 재능을 활용해 더 많은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긱 이코노미의 순기능으로 꼽힌다.하지만 긱 이코노미가 기존 노동자의 밥그릇을 빼앗고 ‘질 낮은 일자리’를 양산할 것이란 주

  • 생글기자

    미국의 '긱 이코노미' 예측이 빗나간 이유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단기 계약직 고용이 많은 경제를 의미한다. 특히 많은 자동화 시스템이 사람의 일자리를 차지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형태의 경제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했다. 하지만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에 의하면 특수고용직·임시직·계약직 근로자의 비율은 2005년 10.9%에서 2017년 10.1%로 오히려 감소했다고 한다. 그 많은 경제학자의 예상이 빗나간 이유는 무엇일까.많은 논문에서 긱 이코노미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다. 사람들이 일하고 싶을 때 일할 수 있는 자유로운 임시직을 찾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었는데, 이 예측이 크게 빗나갔다고 생각한다. 만화가나 작가 등 일부 프리랜서 직업을 제외한다면 ‘일하고 싶을 때’ 일하려고 계약직을 찾는 경우는 사실 그렇게 많지 않다. 그런 경우는 소수의 부유층을 제외하고는 꿈같은 이야기이다. 현실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휴가가 안정적으로 보장되는 정규직을 찾지, 단기로 일하는 계약직을 찾지 않을 것이다. 긱 이코노미에 대한 예측을 현실에 비해 너무 긍정적인 관점에서 한 것이 오점이라고 생각한다.미국에서 임시직의 비중이 줄어든 것에 대한 분석 중 하나로 미국 경제가 최근 몇 년간 완전고용에 가까운 호황이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사람들은 보통 정기적으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일자리를 선호하기 마련이다. 특히 호황일수록 정규직 일자리를 얻으려고 하지 굳이 불안정한 일자리를 찾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비해 취업과 이직이 자유로운 미국에서도 이런 상황인데, 우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