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좋은 기업…착한 기업…위대한 기업?

    효성티앤씨의 경북 구미 공장은 버려진 페트병을 구입해 폴리에스테르 원사인 리젠을 제조한다. 페트병에 붙어 있는 접착제, 잉크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등 석유에서 뽑아낸 원재료를 쓸 때보다 비용이 두 배 더 든다. 하지만 친환경을 모토로 내건 패션·의류업체들은 재활용 페트병으로 생산한 섬유 원료 리젠을 50% 이상 비싸게 사들인다.비용 절감과 효율을 최우선으로 여기던 기업들이 최근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꼼꼼히 살피기 시작했다. 이른바 ‘ESG 경영’이다. 기업의 생존 키워드로 떠오른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한다. 기업 활동이 친환경이어야 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며 기업 지배구조 또한 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ESG는 경영 전반에 적용되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되고 있다. 독일 자동차업체 BMW는 연내 필요 전력의 3분의 2 이상을 재생에너지에서 공급받겠다고 했고 스웨덴 제조·직매형 의류(SPA) 브랜드 H&M은 10년 안에 산업 폐기물로 만든 나일론 등 재활용 소재만 쓰겠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8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메리 배라 GM 회장 등 미국 주요 기업 CEO 181명은 성명서를 통해 기업이 더 이상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만 역량을 집중해서는 안 되고 소비자와 직원, 납품업체 등 사회 구성원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은 내년 3월부터 모든 금융회사가 ESG 공시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했다. 기업에 투자할 때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노동환경, 인종·성차별 여부, 지배구조의 독립성과 투명성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했다.한국 기업들도 ESG

  • 커버스토리

    이윤창출 → 사회적 책임 → ESG…기업의 책임도 진화한다

    기업들은 오랜 세월 이익과 효율을 강조했다.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경영자는 법률이 요구하는 이상의 사회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윤 극대화는 선이다’라는 주장은 기업 경영의 원칙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단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일부 기업의 위험하고 불법적 행위는 때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미국 화학기업 듀폰은 1931년 ‘기적의 냉매’라며 프레온이라는 냉각제를 개발해 에어컨 등에 사용했지만, 프레온이 대기의 오존층을 파괴해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한다는 점이 드러나 국제적인 퇴출 운동이 벌어졌다. 두산전자는 1991년 낙동강에 화학물질인 페놀을 방류해 식수원을 오염시켰다는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기업도 사회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주장이 널리 퍼졌다. 2000년대 본격 도입사실 기업이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1600년대 후반 청나라의 지배를 받게 된 한족 상인들이 하오시(好施)라는 자선활동을 통해 민심을 얻기 위해 힘썼고, 18세기 조선의 상인 김만덕은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털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나눠줘 제주도민들을 구했다.현대적 의미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개념을 정립한 사람은 미국의 경제학자 하워드 보웬이다. 그는 1950년대부터 기업이 이윤 추구 외에 CSR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80년대 후반 노동운동가 제프 밸린저는 인도네시아 나이키 공장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고발하면서 CSR을 기업 평가의 잣대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념이 나온 것은 2000년대 초반이다.

  • 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 장기화 대비 자금 마련"…빚 늘어나는 美·日 기업

    올 들어 글로벌 기업 1400곳의 신용등급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급랭하면서 현금 흐름이 악화된 탓이다.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회사채 발행에 앞다퉈 나섰다. 미국과 일본 기업을 중심으로 부채가 급증하고 있다.지난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올 상반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 채무 비율은 4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3월 말 미국의 기업 채무(금융회사 제외) 규모가 처음 10조달러(약 1경1966조원)를 넘어선 이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일본의 GDP 대비 기업 채무 비율도 96%로 1년 만에 7%포인트 상승했다. 미국과 일본의 기업 채무 규모는 14조7762억달러로, 13조6092억달러인 중국의 국내총생산(2018년 기준)을 넘어섰다.기업들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자금 조달을 서두르면서 채무 규모도 크게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미 중앙은행(Fed)과 일본은행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자국 기업의 경영 파탄을 막기 위해 회사채를 적극 매입한 것도 기업 채무가 늘어난 배경이다. 일본은행은 지난 4월 회사채 매입한도를 10조5000억엔(약 116조6760억원)으로 세 배 이상 늘렸고, Fed는 코로나19 이후 신용등급이 투기등급(BB등급 이하)으로 떨어진 ‘추락천사(fallen angel)’ 채권도 사들이고 있다.하지만 경기 추락 속도가 워낙 빠른 탓에 중앙은행의 자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무더기 신용등급 하락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 들어 6월 25일까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기업은 전 세계 1392곳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배 늘어난 수치로, 사상 최대 규모의 신용등급 강등이 잇따랐던 2008년 금융위기

  • 경제 기타

    개방 이전부터 미얀마에 투자해온 한국 기업들

    요즘 세계 각국 정부의 화두이자, 최근 몇 년 동안 이슈가 된 경제용어 중 하나가 아마 ‘리쇼어링(reshoring)’이란 단어일 듯싶다. 리쇼어링이란 해외에 나가 있는 자국 기업을 각종 세제 혜택과 규제완화 등을 통해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기업의 본국 회귀 정책’을 말한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리쇼어링을 통해 기업을 자국에 유치함으로써 미국 내에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을 대표적인 정책 의제로 추진해왔다.④ 미얀마의 한국 기업들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을 배경으로 제조업 공급망 안정이 산업계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한국 정부도 제조업의 본국 회귀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리쇼어링을 독려하고 있다.반면에 신흥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외국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업에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을 유치하면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부 기여는 물론이고, 무엇보다 자국민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미얀마 투자국 5위인 대한민국미얀마 정부 역시 개방정책 전환 이후 외국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외국 기업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다. 2012년에는 외국인 투자법을 개정해 외국인 투자 기업에는 △5년간 소득세 면제 △토지 임대기간 최소 50년 보장 △기업 과실의 본국 송금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투자 관련 총괄 부서를 설치해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외국 기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한국 기업인들은 본격적인 개방 이전부터 시장 선점을 위해 미얀마에 투자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