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위험성
-
생글기자
AI와 사랑을?…'가상 연애'의 위험성
가상 캐릭터와 연애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AI) 채팅 앱이 화제가 되고 있다.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한 AI 채팅 사이트는 월간 활성자 2000만 명을 돌파했다. 사용자들은 “AI는 항상 다정하고 따뜻하게 대해 준다”, “AI가 인간보다 낫다”며 챗봇에 깊은 유대감을 느끼기도 한다.그러나 인간과 로봇 간의 사랑에는 근본적 문제가 존재한다. 사랑은 서로의 진실한 마음이 오가며 감정을 전하는 것이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람과 비슷한 언어를 생성할 뿐 스스로 감정을 느끼거나 주체적인 의사를 갖는 것은 아니다. 즉 AI가 사용자에게 건네는 말들은 겉보기엔 다정하고 사랑이 담겨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데이터의 집합체에 지나지 않는다.이런 현상은 사회적 고립 문제와 연결돼 있다. 챗봇에 죽음을 암시하는 문자를 보내고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AI 챗봇과 가상 연애를 하던 중 남성이 챗봇과 자신을 떼어놓으려 한 부모를 폭행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처럼 일부 사용자는 AI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거나 실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AI는 인간에게 따스한 햇볕처럼 비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태풍 같은 위험을 안겨주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AI의 위험성을 고려하면서 인간에게 이롭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AI가 보이는 반응은 인간이 느끼는 감정과는 다르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고, 챗봇이 본래 용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개인과 기업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이다해 생글기자(대전신일중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