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제 살 깎기 경쟁'에 말려든 중국 경제

    “내권(內卷)식 경쟁에 단호히 반대해야 한다.”중국의 ‘경제 실세’로 불리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지난 11일 인민일보 기고문에서 강조한 말이다. 지방정부마다 우후죽순처럼 쏟아내고 있는 중복 투자와 출혈 경쟁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 글의 요지. 그는 “넓은 국토에서 각 지역이 비교우위를 발휘해야 한다”며 “무작정 높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인공지능(AI), 로봇 등 국가전략산업 육성 기조에 발맞춰 여러 지방정부가 경쟁적으로 기업과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 단위로 보면 과잉투자, 소모적 경쟁 등의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中 전기차 기업 130곳 중 흑자 4곳뿐내권은 요즘 중국 경제에 관련된 뉴스에서 부쩍 자주 등장하는 단어다. 사전적 의미는 ‘안으로 말려 들어간다’인데, 실질적으론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을 가리킨다. 소모적 출혈경쟁이 지속되고 산업 전반의 질적 향상은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중국에서 내권의 후유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영역이 자동차 산업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 10일 펴낸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설, 내권’ 보고서에서 중국 기업들의 위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중국의 완성차 생산능력은 연간 5507만 대로 내수 판매량(2690만 대)의 두 배에 달했다. 생산설비의 실질 가동률이 50% 안팎에 불과하다. 일반적으로 75% 이하면 과잉설비로 간주한다.올 5월에는 세계 1위 전기차 생산업체인 BYD가 재고를 털어내기 위해 최대 34%에 달하는 가격인하를 발표하자 후발 주자들이 줄줄이 따라가면서 ‘공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