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문제
-
생글기자
수행평가 개편, 교사·학생 의견 수렴 아쉽다
교육부가 올해 2학기부터 모든 수행평가를 전면 개편했다. 과제형·암기형 수행평가를 폐지하고, 부모나 사교육의 개입 없이 학생의 역량을 공정하게 평가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혼란을 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대원외고는 지금까지 전공어 수행평가를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 배치해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운영했다. 이번 개편으로 수행평가가 중간고사에 통합돼 학생들은 중간고사와 수행평가를 한꺼번에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교육부는 단순 암기가 아닌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수행평가를 개편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전공어나 한국사와 같이 방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과목은 사고력 중심 평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평가 기준과 학습 방향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 혼란을 겪고 있다.이런 문제는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고 하더라도 현장에서 제대로 실현될 때 의미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정책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으면 정책이 지향하는 이상과 실제 결과는 괴리될 수밖에 없다. 정책을 준비할 때부터 교사 등 현장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하고,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목소리도 가능한 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와 학생이 제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 기간도 충분히 줘야 한다.수행평가 제도 개편은 학교생활과 대입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외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