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최저 충족
-
숫자로 읽는 세상
"2026 수능, 당락 가를 열쇠는 탐구 영역"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수능은 탐구 과목이 대입의 당락을 가를 핵심 변수로 꼽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사회·과학 탐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게 입시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5일 교육계에 따르면 오는 11월 13일 시행하는 올해 수능 역시 ‘킬러 문항을 배제하되 변별력을 확보한다’는 출제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국어·영어·수학의 난이도는 지난해처럼 평이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탐구 영역 점수에 따라 대입 결과가 극명하게 갈릴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지속되면서, 인문·자연계 모두에서 탐구 과목이 중요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사탐런이란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로 갈아타는 것을 말한다. 특히 주요 대학들이 내년도 대입부터 수시모집 수능최저학력 기준으로 사탐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의대뿐 아니라 일반 자연계 학과에서도 사탐을 수시·정시에서 인정해주고 있어 이러한 경향은 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실제로 지난 6월 모의평가에서 사회탐구 응시율은 58.5%로 통합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모의평가(50.3%)와 비교하면 8.2%p나 증가한 수치다.반면 과학탐구 응시율은 24.6%로, 작년 6월 모의평가(40.8%)보다 15%p 넘게 줄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사탐런의 영향으로 과탐을 선택한 자연계생들의 수능 최저 등급 충족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듯하다”면서 “탐구 과목에 의해 대입 당락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임성호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