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산업
-
생글기자
OTT에 밀리는 영화관, 차별화된 경험 제공만이 살길
넷플릭스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흑백요리사>가 종영 후에도 여전히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11일 열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된 넷플릭스 영화 <전, 란>은 평단과 관객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반면 극장 영화는 참패를 거듭하고 있다. 한국 영화 대부분이 제작비도 회수하지 못해 투자가 줄었으며, 신작도 급감했다.그 원인을 두고 여러 가지 분석이 있지만, 영화 관람료 인상을 빼놓을 수 없다. 극장은 고정비용 증가로 관람료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토로하지만, 제작사와 배급사는 관람료 인상에도 객단가는 오르지 않아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주장한다.경제학의 가격탄력성 개념을 이용해 이 문제의 돌파구를 찾을 수는 없을까. 가격탄력성이란 가격 등락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반응하는 정도를 말한다. 대부분 영화 관객은 가격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하지만 일부 영화에 대해서는 가격이 올라도 비탄력적 반응이 나타난다. 아이맥스, 4D, 리클라이너 좌석 등 프리미엄 상영관이 대표적이다.‘용아맥 피케팅’이라는 말이 있다. 블록버스터 영화를 CGV 용산 아이파크몰 아이맥스관에서 보기 위해 티케팅 경쟁을 벌이는 것을 말한다. 특별한 경험을 선호하는 관객은 가격에 덜 민감하다. 결국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OTT와 경쟁에서 영화관이 살아남는 방법이다.비탄력적 수요뿐 아니라 탄력적 수요를 잡기 위한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현실적으로 관람료를 내리기 어렵다면 정교한 가격 차별화 전략과 한정 할인 이벤트로 가격에 민감한 관객층을 효과적으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김해린 생글기자(정신여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