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주의 관사 벽에 쓰다
-
교양 기타
황제 선물까지 돌려보낸 포청천 [고두현의 아침 시편]
단주의 관사 벽에 쓰다(書端州郡齋壁) 포증맑은 마음은 정치의 뿌리요바른 도리는 이 몸이 추구하는 것.빼어난 나무는 훗날 용마루가 되고좋은 쇠는 갈고리가 되지 않는 법.창고가 가득하면 쥐와 참새가 즐겁고풀이 다하면 토끼와 여우가 근심한다.역사책에 남긴 가르침이 있으니후세에 부끄러움을 남기지 말 일이다.* 포증(包拯, 999~1062) : 청렴했던 송나라 재상.포청천으로 유명한 송나라 재상 포증(包拯)의 시입니다. 제목 ‘단주의 관사 벽에 쓰다(書端州郡齋壁)’에 나오는 단주(端州)는 광둥성 조경(肇慶)과 운부(雲浮)의 옛 이름이지요. ‘군재(郡齋)’는 군수가 사는 관사를 가리키니, 단주 군수로 재직할 때 관사 벽에 써놓은 시를 뜻합니다.좋은 목재가 동량이 되려면…‘맑은 마음(心)’과 ‘바른 도리(直道)’는 그가 근본으로 삼던 정치 덕목입니다. 이것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목재도 ‘동량(용마루)’이 될 수 없다고 믿었죠. 훌륭한 인재가 부도덕한 관리로 추락하는 것은 이 덕목을 잃을 때 일어나는 비극입니다.이와 마찬가지로 ‘좋은 쇠는 갈고리가 되지 않는 법’이니, 꼼수를 부려 남을 해치는 사람이 되지 말라는 것입니다. 곳간에서 제 배 채우기에 급급한 쥐와 참새는 탐관오리의 또 다른 상징이죠.그가 얼마나 청렴했는지를 알려주는 일화가 있습니다. 환갑이 됐을 때였죠. 그는 아들 포귀(包貴)에게 모든 선물을 사절하라고 단단히 일러뒀습니다. 그런데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습니다. 제일 먼저 환갑 선물을 보내온 사람이 하필 인종 황제였지요.아들은 매우 난처했습니다. 고민 끝에 선물을 갖고 온 태감에게 “이 특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