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조우'와 '복안'은 어떻게 상투어가 됐나

    #.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잦은 해외 순방에도 성과가 미흡하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조우했음에도 한중 정상회담이 불발된 일을 탓한 것이다. 주목해야 할 곳은 ‘조우’다. 흔히 쓰는 말이지만, 잘못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조우(遭遇)’란 무엇일까. ‘조(遭)’와 ‘우(遇)’ 모두 ‘우연히 만나다’란 뜻을 나타내는 글자다.‘조우=우연한 만남’… 아무 데나 쓰면 곤란두 글자에 공통적으로 쓰인 ‘쉬엄쉬엄 갈 착()’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책받침변’으로도 불리는 이 글자는 사람이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즉 “길을 가다 A와 B가 조우했다”는 의미로, 예기치 않게 만났을 때 쓰는 단어가 ‘조우’다. 흔히 하는 말 중에 “조난(遭難)을 당하다”,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다”라고 할 때 각각 ‘조’ 자와 ‘우’ 자가 쓰였다. ‘항해나 등산 따위를 하는 도중에 재난을 만나는 것’이 ‘조난’이다.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나다, 즉 좀체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이 ‘천재일우’다. 그러니 예문의 표현이 왜 잘못됐는지 자명하게 드러난다. ‘우연히 만났다’고 해놓고 어찌 정상회담을 기대한다는 말인가. 정상회담이 불발된 것을 탓할 수 없는 상황인 셈이다. 하지만 더 본질적인 오류는 이 문맥에서 ‘조우’ 자체가 적절치 않은 말이라는 점이다. 국제회의 석상에서 어느 두 나라 정상이 “회의 장소에 들어가면서 조우해…” 식으로 설명하는 기사 문장이 의외로 많다. 정상 간 만남은 설령 잠깐이더라도 사전에 동선을 설정해 움직이는, 의도된 만남일 텐데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