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부부
-
교양 기타
연애편지에 은행잎을 붙이는 까닭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은행나무 부부반칠환십 리를 사이에 둔 저 은행나무 부부는 금슬이 좋다삼백 년 동안 허운 옷자락 한 번 만져보지 못했지만해마다 두 섬 자식이 열렸다언제부턴가 까치가 지은 삭정이 우체통 하나씩 가슴에 품으니가을마다 발치께 쏟아놓는 노란 엽서가 수천 통편지를 훔쳐 읽던 풋감이 발그레 홍시가 되는 것도 이때다그러나 모를 일이다삼백 년 동안 내달려온 신랑의 엄지발가락이 오늘쯤신부의 종아리에 닿았는지도바람의 매파가 유명해진 건 이들 때문이라 전한다* 반칠환: 1964년 충북 청주 출생. 199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뜰채로 죽은 별을 건지는 사랑>, <웃음의 힘>, <전쟁광 보호구역> 등 출간. 서라벌문학상 등 수상.은행나무에는 암수가 따로 있지요. 암나무는 수나무에서 날아온 꽃가루를 받아야 열매를 맺습니다. 열매도 수십 년 자란 암나무에만 열립니다. 어린 묘목으로는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죠.은행나무를 ‘공손수(公孫樹)’라고 부르는 까닭도 여기에 있습니다. 나무가 자라 열매를 맺기까지 수십 년이 걸리기에 할아버지가 심은 뒤 손자 때에야 열매를 보니까요.괴테를 매혹시킨 은행잎의 비밀한자로 ‘은행(銀杏)’은 ‘은빛 살구’를 의미합니다. 열매가 살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렀다고 해요. 전 세계에 1종 1속만 있고,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식물이어서 ‘살아 있는 화석’으로도 불립니다.유럽 사람들은 18세기 초까지 은행나무가 무엇인지 몰랐다고 합니다. 원산지인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래된 은행나무의 후손을 한 독일인 의사가 일본 근무 후 귀국할 때 갖고 간 뒤 유럽에 퍼졌지요.독일 시인 요한 볼프강 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