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적을 잡으려면 왕을 먼저 잡아라 [고두현의 아침 시편]

    전장에 나아가며(前出塞·6) 두보 활을 당기려면 강궁을 당겨야 하고 화살을 쓰려면 긴 것을 써야 하느니 사람을 쏘려면 먼저 말을 쏘아야 하고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 사람을 죽이는 데도 한계가 있고 나라를 세움에도 경계가 있는 법. 능히 적의 침략을 막을 수 있다면 어찌 그리 많은 살상이 필요한가. * 두보(712~770) : 당나라 시인 두보는 ‘출새(出塞)’라는 제목의 시를 9수 짓고 나서 후에 5수를 더 지었습니다. 여기에 ‘전출새(前出塞)’와 ‘후출새(後出塞)’라는 제목을 붙였죠. 전출새는 토번(吐蕃, 지금의 티베트) 정벌 등 당 현종의 영토 확장 전쟁을 풍자한 시입니다.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는 게 핵심 주제인데, 그만큼 애꿎은 병사와 백성의 목숨을 살리고 전쟁의 피해를 줄이자는 내용입니다. ‘가짜 화살’로 적장을 제거한 지혜이른바 ‘금적금왕(擒賊擒王, 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부터 잡아라)’은 병법 36계의 공전계(攻戰計) 제18계에도 등장하지요. ‘장순전(張巡傳)’에 나옵니다. 장순이 안록산의 반란군에 맞서 수양성을 지킬 때였죠. 적장 윤자기(尹子琦)는 13만 대군으로 성을 포위했습니다. 장순의 군사는 고작 7000여 명. 군량마저 바닥나 성이 함락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장순이 병서의 ‘금적금왕’을 떠올렸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았고, 수많은 적군 가운데 적장을 찾기란 어려운 일이었지요. 그래서 묘책을 냈습니다. 그는 부하들에게 쑥대와 볏짚으로 ‘가짜 화살’을 만들어 적에게 쏘게 했습니다. 화살을 맞은 적들은 어리둥절했죠. 건초 화살을 집어든 적군 병사가 누군가에게 달려가더니 무릎을 꿇고 화살을 바쳤습니다. 이 모습을 본 장순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