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사면초가'에 갇힌 항우의 실패 요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우미인초(虞美人草)증공(曾鞏)홍문의 연회에서 범증의 옥두가 눈처럼 깨지니항복한 진나라 십만 병사 피가 밤새 흘렀네.함양의 아방궁 불길 석 달이나 붉게 타고항우의 패업 꿈은 연기되어 사라졌네.강하기만 하면 필시 죽고 의로워야 왕 되는 법음릉에서 길 잃은 건 하늘의 뜻만이 아니라네.영웅은 만인을 대적하는 법을 배워야 하거늘어찌 그리 가슴 아파하며 미인을 슬퍼했던가.삼군이 다 흩어지고 깃발마저 쓰러지니옥장 속의 어여쁜 여인 앉은 채로 늙어가네.향기로운 영혼 검광 따라 하늘로 날아가더니푸른 피가 변하여 들판의 풀꽃 되었구나.꽃다운 마음 싸늘한 가지에 머물러 있고옛 노래 들려오니 눈썹을 찌푸리는 듯해라.슬픔과 원망 속에 근심 깊어 말도 못 하니초나라 노랫소리 듣고 놀랐을 때와 같네.도도히 흐르는 강물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고한나라 초나라 흥망도 언덕 위 흙 한 줌일 뿐지난 일 모두 부질없게 된 지도 오래인데잔 앞에 슬퍼하던 꽃 누굴 위해 하늘거리는고.*증공(曾鞏, 1019~1083) : 송나라 시인이자 학자.이 시 ‘우미인초’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송나라 증공의 칠언절구입니다. 첫 구에 나오는 ‘홍문의 연회(鴻門之宴)’는 중국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술자리로 꼽히지요. 천하를 놓고 패권을 겨루는 자리였으니 더욱 그렇습니다.원래 이 연회는 항우가 유방을 암살하려고 마련한 것이었습니다. 항우의 참모 범증은 “큰 뜻을 품고 있는 유방을 이번 기회에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며 칼춤 도중에 죽이려 했지요.명참모 기지로 위기 벗어난 유방그러나 이 자리에서 유방은 항우에게 최고의 예를 갖추며 위기일발의 예봉에서 벗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