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벼루
-
교양 기타
사람을 알아보는 두 개의 눈 '안목(眼目)'
낡은 벼루구양수흙벽돌이나 기와가 하찮은 물건이지만붓과 먹 함께 문구로도 쓰였다네.물건에는 제각기 그 쓰임이 있나니밉고 곱고를 따지지 않는다네.금이 어찌 보물이 아니고옥이 어찌 단단하지 않으랴만먹을 가는 데에는 기와 조각만 못 하다네.그러니 비록 천한 물건이라도꼭 필요할 땐 그 값을 견주기 어려운 줄 알겠네.어찌 기와 조각만 그렇겠는가.사람 쓰는 일 옛날부터 어려웠더라네.* 구양수(歐陽脩, 1007~1072) : 송나라 문인 겸 정치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4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으며, 문구 살 돈이 없어 어머니가 모래 위에 써준 갈대 글씨로 공부했다.북송 황제 휘종은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습니다. 그중에서도 그림 보는 눈이 유난히 밝았다고 합니다. 한번은 화가들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독특한 그림 문제를 냈습니다.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췄다’는 주제로 그림을 그리되 특히 ‘감춰진 절’을 제대로 표현하라.”많은 화가가 골머리를 앓다가 희미하거나 작은 절을 그려 놓는 식으로 묘사했지요. 그런데 유독 한 작품에만 절이 그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절 대신에 깊은 산속 계곡에서 물동이를 이고 가는 스님 모습만 있었죠.이 그림을 본 휘종은 그에게 1등 상을 주었습니다. 다른 화가들은 절과 탑을 어떻게든 화폭에 담으려고 했지만, 그는 그냥 물을 길어 가는 스님 모습만으로 근처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암시했지요.이처럼 눈에 보이는 것에 집착하지 않고 그 이면에 숨은 뜻이나 가치를 제대로 찾을 줄 아는 게 곧 ‘안목(眼目)’입니다. 한 단어에 ‘눈 목(目)’ 자가 두 개나 들어 있습니다. 하나는 겉으로 보는 눈이고 하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