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과 아라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라사'와 '소련'으로 엿보는 우리말 뒤안길
1896년 2월 11일 새벽, 동트기 직전의 어둠을 타고 경복궁에서 가마 하나가 빠져나와 인근 러시아공사관으로 향했다. 가마에는 고종과 왕세자가 타고 있었다. 열강의 각축 속에 조선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던 구한말, 한 나라의 국왕이 외국 공관에 몸을 의탁해 정사를 돌봐야 했던 치욕의 역사가 있었다. 이른바 ‘아관파천’이다. 127년 전 이맘때 일어난 사건이다.외래어표기법 없던 시절 쓰던 음역어고종실록은 그것을 ‘上與王太子移駐御于大貞洞 俄國公使館’이라고 전하고 있다. ‘임금과 왕태자가 대정동(지금의 중구 정동) 아국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는 뜻이다. 여기 나오는 ‘아국공사관(俄國公使館)’이 지금의 러시아공관이다.당시에는 러시아를 한자로 음역해 ‘아라사(俄羅斯)’라고 쓰고 읽었다. 줄여서 ‘아국’이라고도 했다. 아라사에서 머리글자를 따고 뒤에 ‘나라 국(國)’ 자를 붙여 만들었다. 외래어 표기규범이 없던 시절 외국 인명·지명을 적던 방식이다. 이를 음역어라고 한다. 일본에선 러시아를 ‘露西亞’로 쓰고 [ロシア(로시아)]로 읽었다. 이 한자를 다시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게 ‘로서아’다. 한국은 개화기 때 중국과 일본의 표기를 다 들여와 아라사, 로서아를 혼용했다.우리 역사에서는 좀 더 이른 시기에 ‘나선(羅禪)’이라고도 했다. 효종실록에 전하는 얘기다. <청나라 사신이 서울에 들어왔다. … 임금이 말하길, “나선은 어떤 나라이오?” 하니, 사신이 아뢰기를, “영고탑(청나라 때 만주지방의 지명) 옆에 별종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나선입니다.”> 조선 효종 때인 1654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