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스미스의 가치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으로 완성되는 애덤 스미스의 가치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기업의 책임을 그 누구보다 먼저 강조했다. 경제학자이기 전에 18세기 스코틀랜드 출신 철학가였던 그는 “소비는 모든 생산의 유일한 목표이자 목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생산자의 이익은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존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기업의 이익은 언제나 소비자 이익 다음이라는 의미다. 초기의 자본주의애덤 스미스가 기업의 이익보다 소비자 이익을 우선한 이유는 중상주의 경험 때문이다. 중상주의 시절에는 산업과 상업의 궁극적인 목적이 소비가 아니라 생산이라고 믿는 시각이 만연했다. 이런 관점은 식민지 경쟁으로, 약탈 경쟁을 낳았다. 하지만 애덤 스미스는 소비자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관점과 ‘보이지 않는 손’으로 표현되는 이익 추구 현상을 활용해 소비자의 이익이 극대화된다고 설명했다. ‘우리가 저녁식사를 할 수 있는 이유는 푸줏간 주인이나 양조장 주인, 빵집 주인이 자비로워서가 아니라 그들이 각자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다’라는 <국부론>의 문장은 이런 배경에서 만들어졌다.하지만 애덤 스미스 시대에는 시장 밖에 존재하는 이기적인 투자집단을 알 수 없었다. 투자 이익 극대화를 위해 빵집 주인에게 비용을 줄이고 값싼 재료를 사용하도록 압력을 행사할 줄은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그럼에도 1980년대 이전까지 자본주의는 대체로 애덤 스미스의 의도대로 흘러갔다. 기업들은 부자는 물론 평범한 시민에게도 투자할 기회를 줬고, 기업 임원은 스스로를 주주뿐 아니라 채권자, 협력업체, 직원, 지역사회를 위한 관리인이라 생각했다. 자본주의의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