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노마드족
-
키워드 시사경제
"전 떠납니다, 이자 1원이라도 더 주는 곳으로"
“바로 전날 창구에서 연 6.5% 금리 예금에 가입한 고객이 다음날 해지했어요. 알고 보니 우리보다 규모가 큰 저축은행이 금리를 올리자 그쪽으로 갈아탔더라고요.”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평균 연 5%대 중반까지 높였지만 자금을 유치하기가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내건 예·적금 상품을 찾아 수시로 옮겨 다니는 소비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들을 유목민(nomad)에 빗대 이른바 ‘금리 노마드족’이라 부른다. 똑똑해진 예·적금 가입자들 … 비대면으로 쉽게 ‘환승’금융회사는 크게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눌 수 있다. 1금융권은 은행이고 2금융권은 저축은행, 보험사, 증권사, 카드사 등 은행을 뺀 나머지 업체다.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규모가 작고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모두 높다는 특성이 있다. 이름이 ‘OO은행’이면 1금융권, ‘OO저축은행’이면 2금융권이다.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단숨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두 번 연속 단행한 이후 저축은행들은 최고 6%대 중반에 이르는 특판 예·적금을 쏟아냈다. 10년 전에나 볼 수 있던 고금리에 매력을 느낀 소비자들은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특판을 시작한 저축은행마다 수천억 원의 자금이 몰려들어 하루이틀 만에 마감하는 일이 수두룩했다.하지만 이렇게 돈을 끌어모아도 경쟁사가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 순식간에 빠져나가는 사례가 잦아지면서 저축은행들은 자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예금이 다른 업권에서 유입되는 게 아니라 저축은행 안에서 돌고 도는 현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