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의 북벌관과 나선정벌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왕과 양반들, 북벌론에도 모화사상 못 벗어나…청나라 요청으로 파병…'나선정벌'로 변질돼
인조 때 제주도에 표착한 네덜란드인 얀 야너스 벨테브레이(박연)는 귀화해 무기 제조 등에 참여했다. 이어 표착한 동인도회사의 직원 하멜 등도 군기 개발에 참여했고, 효종도 활용했다. 한편 북쪽에서는 몽골의 지배를 벗어난 러시아가 17세기 중반부터 헤이룽강(아무르강) 일대에 진출해 부가가치가 높은 담비 가죽을 비롯한 모피 등의 자원을 획득하고, 식민단을 정착시켜갔다. 청나라도 북진하면서 북만주의 삼림과 헤이룽강 상류의 다구르족, 예벤크족 등 소수 종족과 전투를 벌였다.따라서 헤이룽강 일대에서 청과 러시아의 충돌은 시간문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은 청나라와의 전면전은 고사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는 전술적인 공격조차 불가능했다. 더구나 명에서 청으로 바뀌었을 뿐 모화사상은 깊게 뿌리내렸기 때문에 절대권력을 가진 왕과 양반 사대부라 해도 정치생명과 직결된 모험을 추진했을 가능성은 없다. ‘북벌론’은 명분과 윤리라는 관점에서는 시대의식과 필요한 행위일 수 있지만 실천이 아닌 명분상의 자존심 회복, 정권 안정이라는 내부용일 가능성이 크다. 결국 훗날 숙종과 대원군처럼 망상과 백성을 억압하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선례를 남겼다.가정해 본다. 만에 하나 북벌론이 추진됐다면 어떤 결과를 초래했을까. 수많은 백성이 살육되고, 포로로 끌려갔으며, 어쩌면 독립마저 상실하고 청 제국의 일개 성(省)으로 변했을지도 모른다.그런데 역사에서는 때때로 우연이 발생한다.북벌 준비는 ‘나선 정벌’이라는 기묘한 사건으로 변형됐다. 러시아와 전투를 벌이며 패배하던 청나라는 북벌론으로 강해진 조선군의 화포 등 무기 수준을 시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