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시스템 자극
-
디지털 이코노미
'좋아요'가 도파민 자극…사회적 인정욕구 강해져
종이 울리면 개는 침을 흘렸다. 러시아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실험 이야기다. 개들은 전혀 상관없는 종소리만으로 먹이를 연상했고, 이 자극만으로도 침을 흘렸다. 자극과 보상의 관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이 한 단계 높아지는 순간이었다. 그의 실험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종소리였던 자극이 ‘좋아요’로 바뀌었을 뿐이다. ‘좋아요’와 뇌의 변화인간의 뇌는 사회적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진화돼왔다. 1980년대 말 영국 옥스퍼드대의 문화인류학자인 로빈 던바는 그의 연구진과 함께 이를 밝혀냈다. 원숭이와 인간으로부터 평균 집단 규모와 뇌 크기를 수집한 결과 사회질서가 복잡할수록 뇌 크기가 더 커진다는 사실을 발견해낸 것이다. 사회적 신호에 반응하는 뇌에 관한 연구는 소셜미디어로 확장됐다.UCLA 신경과학자들은 인스타그램 피드 안에서 스크롤할 때 나타나는 뇌의 반응을 기록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의 어느 부위가 밝게 빛나는지 fMRI를 통해 촬영했다. 실험에 활용된 사진은 ‘좋아요’ 숫자가 임의로 조작돼 있었다. 자신의 사진, 다른 사람의 사진, 위험한 행동을 하는 사진, 평범한 행동을 하는 사진의 ‘좋아요’ 숫자를 조작한 것이다. 그런 다음 실험 대상 청소년에게서 ‘좋아요’를 주고받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이었다. 실험 결과 ‘좋아요’를 많이 받은 사진을 볼 때 보상에 관여하는 도파민 시스템 부위가 더 활성화됐고, 시각 피질을 관장하는 뇌 부위가 밝아졌다. 시각 피질이 밝아졌다는 것은 보고 있는 것에 더 집중하고 많은 관심을 쏟으며 자세히 들여다보았음을 의미한다. 소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