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경제전환
-
디지털 이코노미
덴마크 노조가 로봇 도입을 반기는 이유는
삼각형은 그 자체로 완벽한 도형이다. 사각형은 정사각형도 마름모도 될 수 있지만, 삼각형은 길이가 설정되면 모양이 바뀌지 않는다. 종교에서, 정치에서, 예술에서 삼각형이 자주 차용되는 이유다. 삼위일체도 그중 하나다. 종교적 색채를 빼고 나면, 삼위일체는 세 가지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해 통합되는 일로 정의된다. 디지털 경제 시대, 이는 정부와 기업, 노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싱가포르의 경제전환싱가포르는 한국, 홍콩, 타이완과 더불어 아시아의 호랑이 중 하나다. 오늘날 싱가포르는 국내총생산(GDP)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가량이지만, 경제 성장의 초석은 1960년대 노동집약적 제조업이었다. 1960년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0%였으나 이후 1970년대 말에는 25%로 커졌고, GDP는 연간 6% 이상 증가했다. 값싼 제조업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며 일본을 비롯한 많은 국가가 싱가포르로 모여들게 했고, 그 덕에 1965년 500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GDP는 1990년 1만3000달러로 급등했다. 더욱 놀라운 점은 2015년에는 1인당 GDP가 유럽의 경제 강국인 독일보다, 그리고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미국보다 높아졌다는 점이다. 이는 1980년대 이미 경제구조를 서비스와 지식 중심으로 전환한 결과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새로운 개발도상국이 추격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가치사슬 상단으로 옮겨 간 것이다. 문제는 노동자들이었다. 제조기술에 익숙한 노동자들을 고부가가치의 서비스업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정부가 아동과 성인 모두를 위한 새로운 유형의 교육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전자 분야를 비롯한 고숙련 산업에 중점을 둔 훈련센터를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