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산업혁명
-
디지털 이코노미
상품·지식 이동비 줄인 신기술…빈부 격차 갈랐다
오랜 기간 생산은 소비와 결합되어 있었다. 약 20만 년에 달하는 인류 역사 가운데 19만 년의 시간 동안 생산한다는 개념은 특정한 시기와 특정한 장소에서 식량을 생산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우연히 좋은 지역을 발견해 식량을 생산하더라도 이동할 방법이 없었던 탓에 소비는 생산을 향해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인류가 유목생활을 택한 이유이다. 산업혁명과 이동비용의 감소생산과 소비의 결합이 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1, 2차 산업혁명을 거치면서부터다. 인류는 그 이전에 철의 제조방법을 발견하면서 나일강, 인더스강, 황허강,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대표되는 4대강 유역에 정착했지만, 생산과 소비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던 점은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소비자가 생산 쪽으로 이동해 결합되었던 방식에서 소비와 생산 어느 쪽의 이동도 필요하지 않은 상태로 결합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증기기관과 전신의 발명으로 생산과 소비를 떼어 놓기 시작했다. 증기기관으로 상품, 전신으로 지식의 이동비용이 낮아졌기 때문이다.경제학자 리처드 볼드윈은 그의 논문 를 통해 거리가 상품과 지식, 사람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인류는 이 세 가지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과 소비가 가까이 위치하기를 원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술 발전으로 이동비용이 낮아지자 기존 경제질서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증기혁명이 대표적이다. 19세기 초가 되자 상업용 증기기관이 선박과 철도에 장착되기 시작했다. 이는 무엇보다 육상화물의 이동비용을 급격히 낮추었다. 1인당 철도 길이는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해 선두를 달리던 영국을 미국과 독일이 빠른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