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탐구활동의 두 축, 독창성과 합리성

    고등학교 생활에서 탐구활동은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탐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탐구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탐구는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자기만의 관점을 수립해나가는 일입니다. 따라서 독창적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나만의 고유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기존의 연구나 해결책과는 차별화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탐구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탐구활동은 생활기록부를 보다 풍부하게 채우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탐구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연구 결과를 얻는다면, 생활기록부에 아주 의미 있는 성과를 남길 수 있게 됩니다.이때 주의할 점은 독창성을 강조한 나머지 탐구 내용이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탐구활동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므로 이런 태도가 바탕에 깔려 있어야 합니다. 탐구활동에 편향된 의견이나 관점이 반영되면 과도하게 주관적이거나 비논리적인 결론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탐구 과정에서는 독창성을 발휘하되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탐구활동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려면 일정한 기준을 정해야 합니다. 그런 기준이 없다면 탐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변수를 제대로 분석하거나 통제할 수 없습니다. 단,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해 결론을 끌어낼 수 있는 기준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실험을 거쳐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론을 검증하거나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비교해 신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막말하는 北, 남한에 '호통쳤다'고?

    ‘단어의 선택’은 글쓰기의 시작이나 다름없다. 우리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살펴본 사례들도 바로 이 단어 용법에 관한 것이었다. 글 쓰는 이가 구사하는 단어의 폭에 따라, 여기에 최적의 단어를 골라낼 수 있는 능력 여하에 따라 글의 품질이 결정된다. 그중에서도 글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문장론적 방법은 무엇일까? ‘호통치다’는 ‘꾸짖다’는 뜻…北막말엔 옳지 않아글쓰기에서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용어나 표현을 쓰는 능력은 중요하다. 글에 신뢰감을 주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각종 논문류를 비롯해 보고서, 설명서 등 실용문을 작성할 때 더 그렇다. 하지만 ‘객관성’은 상대적 개념이라 이를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 그럴 때 비교적 검증된 방식이 공인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가령 ‘동학혁명, 동학농민운동, 동학농민전쟁, 동학농민봉기’ 등 비슷비슷한 용어 앞에서 무엇을 쓸지 고민한다면 주저하지 말고 ‘동학농민운동’을 선택하면 된다. 예전에는 ‘제주도 4·3폭동’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정부에서는 이를 버리고 ‘제주도 4ㆍ3사건’으로 정리했다. ‘폭동’이란 표현이 자칫 지역주민 전체를 폭도로 몰아 사건 자체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5·16혁명’이라 쓸지‘5·16쿠데타’로 쓸지 망설인다면 불법적 찬탈의 의미를 배제한 ‘5·16 군사정변’을 쓰는 게 좋다. 모두 교육부에서 채택한 교과서 편수용어라 공공성을 확보한 말이다.‘천황’은 일본에서 그 왕을 이르는 말이다. 이를 우리 언론에서 또는 국민이 천황이라 할지, 일왕이라 표기할지에 관한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