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거이
-
교양 기타
백거이가 10대에 쓴 놀라운 시 [고두현의 아침 시편]
옛 언덕의 풀 이별 노래백거이언덕 위에 우거진 풀들해마다 한 번 시들었다 무성해진다네.들불을 놓아도 다 타지 않고봄바람 불면 다시 돋아난다네.방초는 멀리 뻗어 옛길을 덮고맑은 하늘 푸른 빛은 황폐한 성까지 닿네.또 그대를 떠나보내니이별의 슬픔 가득하다네.賦得古原草 送別離離原上草 一歲一枯榮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遠芳侵古道 晴翠接荒城又送王孫去 萋萋滿別情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10대 시절에 쓴 시입니다. 원문 제목은 ‘부득고원초송별’인데, ‘초(草)’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백거이가 15세, 혹은 18세 때였다고 합니다. 시험을 보러 수도 장안(長安)에 처음 갔다가 당시 이름난 시인인 고황(顧況)을 찾아갔지요. 고황은 소년의 이름이 ‘거이(居易)’인 것을 보고 이에 빗대어 “장안의 쌀값이 비싸니 살기가 어려울 텐데(長安米貴 居住不易)”라며 조롱했습니다. 그러나 백거이가 이 시를 보여주자 “이런 재주가 있다면 살아가기가 쉬울 것(有才如此 居亦容易)”이라며 감탄했다고 합니다. 이때의 칭찬 덕분에 소년 백거이의 이름이 널리 퍼졌지요.들불을 놓아도 풀은 다 타지 않는다시 원문에 나오는 ‘야화(野火)’는 들판의 마른 풀을 태우기 위해 지르는 불을 가리킵니다. ‘야화소부진 춘풍취우생(野火燒不盡 春風吹又生)’은 들불을 놓아도 풀은 완전히 다 타 없어지지 않고 봄이 되면 다시 파릇파릇 돋아나는 것을 묘사한 것이죠. 간결하면서도 깊은 함의를 지닌 이 구절이 바로 이 시의 백미입니다.이 명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소인(小人)은 제거해도 다 사라지지 않아 마치 풀
-
교양 기타
조심하게! 웃음 속에 칼을 감춘 사람 [고두현의 아침 시편]
술이나 마시게(不如來飮酒)백거이먼지 자욱한 세상에 얽혀힘겹게 마음 쓸 일 어디 있겠는가달팽이 뿔 위에서 서로 싸운들얻어야 한 가닥 쇠털뿐인걸잠시 분노의 불길을 끄고웃음 속 칼 가는 것도 그치고차라리 여기 와 술이나 마시며편히 앉아 도도히 취하느니만 못하리.* 백거이(白居易, 772~846) : 당나라 시인1200여 년 전에 백거이가 쓴 시입니다. 요즘 나라 꼴이 말이 아닌데, 그때나 지금이나 별로 다를 게 없어 보이죠?먼지 자욱한 ‘홍진의 세상’은 늘 인간이 만듭니다. 간사하고 야비한 사람일수록 더 그렇습니다. 웃음으로 상대의 경계심을 누그러뜨리고 뒤로는 제 잇속을 챙기면서 결국엔 비수를 드러내지요. 작은 권력이라도 잡으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분탕질을 칩니다. 황제까지 협박…엄청난 뇌물 챙겨당나라 고종 때 이의부(李義府)도 그런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고종이 아버지의 후궁이던 무씨(武氏, 훗날 측천무후)를 황후로 삼으려 할 때 앞장서 찬동하며 큰 신임을 얻었습니다. 속으로는 음험하면서도 겉으로 겸손한 척하며 미소를 잃지 않는 캐릭터였지요. 머잖아 본색을 드러낸 그는 정적들을 온갖 죄로 얽어 숙청했습니다.사형수 중에 미녀가 있는 걸 알고는 간수에게 명해 석방시킨 뒤 첩으로 삼기도 했지요. 사법부 책임자가 이를 알고 상소했지만, 두려움에 떨던 간수만 자살하고 그는 무사했습니다. 이를 다시 비판하던 어사 왕의방(王義方)은 먼 곳으로 좌천됐고요.이의부의 위세는 하늘을 찔렀습니다. 관직을 원하거나 출세하려는 이들이 그의 집으로 밤낮없이 몰려들었지요. 보다 못한 고종이 그를 불러 경고하자 되레 “누가 그런 일을 고했습니까”라고 반문하
-
교양 기타
'달팽이 뿔싸움'과 긍정의 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술을 앞에 놓고(對酒·二)백거이달팽이 뿔 위에서 무엇을 다투는가.부싯돌 번쩍하듯 찰나에 사는 몸풍족하나 부족하나 그대로 즐겁거늘하하 크게 웃지 않으면 그대는 바보.* 백거이(白居易, 772~846) : 당나라 시인. 어려서부터 총명해 5세부터 시를 썼다.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생전에 즐겨 암송한 시입니다. 정 회장은 걱정으로 마음이 졸아들 때 이 시를 읊으며 용기를 냈습니다. 눈앞의 작은 분쟁을 경계하고 호방하게 큰일을 도모하는 지침으로 삼기도 했지요.한 몸에 난 촉수끼리 싸우다니…달팽이는 머리 위에 두 개의 촉수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몸에 난 촉수끼리 서로 싸우면 어떻게 될까요. 불필요한 분쟁을 의미하는 고사성어 ‘와각지쟁(蝸角之爭)’이 여기에서 나왔습니다. 달팽이(蝸) 뿔(角) 위에서 싸우는 것처럼 아무 소용도 없는 다툼을 뜻하지요.<장자(莊子)>에 이와 관련한 얘기가 나옵니다.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 혜왕은 불가침 조약을 맺었던 제나라 위왕이 약속을 깨자 자객을 보내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러자 신하인 공손연은 군사를 일으켜 제나라를 치자고 했고, 또 다른 신하 계자는 백성을 피폐하게 만드는 일이라며 반대했습니다. 이에 혜왕이 재상에게 의견을 물었더니 재상은 도가의 현인인 대진인(戴晉人)을 만나보라고 했죠.혜왕을 알현한 대진인은 달팽이 우화를 들려줍니다. “달팽이의 왼쪽 촉수에는 촉(觸)씨라는 사람의 나라가 있었고, 오른쪽 뿔에는 만(蠻)씨라는 사람의 나라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두 나라가 사소한 영토분쟁으로 전쟁을 일으켜 서로가 수만 명의 사상자를 내는 비극에 이르게 된 일이 있었습니다.”혜왕이 엉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