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펜하이머
-
키워드 시사경제
잘 만든 영화 두 편이 미국 성장률 끌어올렸다
최근 미국에선 핑크색만 입히면 옷이든 액세서리든 금세 매진되는 ‘분홍 품절(pink shortage)’ 현상이 나타났다. 웬만한 자신감(?) 없인 소화하기 힘든 분홍빛 패션으로 무장한 젊은 여성을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버거킹은 핑크색 햄버거를 내놓는 등 기업마다 ‘분홍 마케팅’에 열을 올렸다. 지난 7월 개봉한 영화 <바비>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벌어진 일이다. <바비>는 한 달여 만에 세계적으로 13억 달러 넘는 매출을 기록했으며, 아직도 그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극장 매출 20억 달러, 패션·캐릭터도 불티같은 날 선보인 영화 <오펜하이머> 역시 흥행 기세가 매섭다. <오펜하이머>가 현재까지 거둬들인 글로벌 티켓 판매 수입은 8억5000만 달러 이상이다. 연예 주간지 <버라이어티>는 “어두운 분위기의 R등급(17세 이하는 성인을 동반해야 관람 가능) 역사물이 예상을 깨는 인기를 얻고 있다”라고 전했다.<바비>는 인형이 현실 세계로 넘어와 겪는 에피소드를 그린 유쾌한 영화이고, <오펜하이머>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물리학자를 소재로 한 무거운 작품이다. 분위기는 정반대이지만, 나란히 대박을 터뜨린 두 작품을 외신들은 ‘바벤하이머(바비+오펜하이머)’라 부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오랜 침체기에 빠져 있던 극장 산업을 일으켜 세운 일등 공신이기 때문이다. CNN은 “바벤하이머 조합이 기대 이상의 시너지를 냈고 흥행 여파가 인형, 캐릭터 상품 등 연관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바비> 등이 유발한 수요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