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易地思之역지사지

    ▶한자풀이易: 바꿀 역地: 땅 지思: 생각 사之: 갈 지처지를 서로 바꾸어 생각하다상대방의 입장에서 헤아림              - <맹자(孟子)>맹자(孟子)는 치수에 성공한 우(禹), 농업의 신인 후직(后稷),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같은 길을 가는 사람으로 평가했다. 그들은 서로의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모두 같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했다. “안회도 태평성대에 살았다면 우 임금이나 후직처럼 행동했을 것이며, 우 임금과 후직도 난세에 살았다면 안회처럼 행동했을 것이다. 처지가 바뀌면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易地則皆然).”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이 줄어든 말로, 입장을 바꿔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한다는 뜻이다. 우는 하(夏)나라 시조로 물을 잘 관리한 것으로 전해지며, 후직은 신농(神農)과 더불어 중국에서 농업의 신으로 숭배되며 순(舜)임금이 나라를 다스릴 때 농업을 관장한 것으로 전해온다.안회는 공자가 “화를 남에게 옮기지 않는다(不遷怒)”며 그의 덕을 칭찬한 인물이다. 맹자는 이들의 시대적 상황이 바뀌었다면 서로의 처지를 헤아려 거기에 합당한 처신을 했을 거라고 말한 것이다.역지사지는 공자의 서(恕)와 뜻이 닿는다. 자공이 스승 공자에게 물었다. “죽을 때까지 행해야 할 덕목이 있습니까.”공자가 지체 없이 답했다. “그것은 서(恕)일 것이다.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행하지 마라(己所不欲 勿施於人).”서는 상대의 처지를 헤아리는 마음이다.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는 성경 구절과도 뜻이 이어진다.아전인수(我田引水)는 의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