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근묵자흑 (近墨者黑)

    ▶한자풀이近: 가까울 근墨: 먹 묵者: 놈 자黑: 검을 흑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주위 환경에 따라 변함을 비유   -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어울리면 서로 닮는다. 그러니 친구를 보면 그가 누군지를 안다.진(晉)나라 학자 부현(傅玄)이 편찬한 잠언집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무릇 쇠와 나무는 일정한 형상이 없어 겉 틀에 따라 모나게도 되고 둥글게도 된다. 또 틀을 잡아주는 도지개에 따라 습관과 성질이 길러진다. 이런 까닭으로 주사(朱砂)를 가까이하면 붉게 되고, 먹을 가까이하면 검게 된다(故近朱者赤 近墨者黑). 소리가 조화로우면 울림이 맑고, 형태가 곧으면 그림자 역시 곧다.”근묵자흑(近墨者黑)은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는 말이다. 백로가 까마귀와 어울리면 안 되는 이치를 깨우쳐주는 한자성어다. 맹자가 자식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과도 뜻이 맞닿는다. 모두 주위 환경의 중요성을 이르는 말이다.마중지봉(麻中之蓬)은 삼밭에 나는 쑥이라는 뜻으로, 구부러진 쑥도 삼밭에 나면 꼿꼿하게 자라듯이 좋은 벗을 사귀면 절로 선인이 됨을 비유한다. 귤화위지(橘化爲枳) 역시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 사람도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비유한다.“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 마라. 성난 까마귀 흰빛을 새올세라. 청강(淸江)에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고려 말 정몽주 어머니 영천 이씨가 쓴 시조로, 간신과 소인배들의 다툼에 충신이 물들까 염려하는 글이다. 새오다는 질투하다란 뜻으로, 권력에 눈먼 간신들이 충심을 시기하고 이간질한다는 의미다.유유상종(類類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橘化爲枳(귤화위지)

    ▶ 한자풀이橘: 귤 귤化: 화할 화爲: 될 위枳: 탱자 지강남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되듯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짐을 비유-<안자춘추(晏子春秋)>안영(晏)은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이다. 세 명의 왕을 모신 재상이지만 늘 검소하고 몸가짐을 조심했다. 재상이 된 뒤에도 고기 반찬을 올리지 않고 아내에게도 비단옷을 입히지 않았다. 달변에 임기응변이 뛰어났지만 조정에서도 항상 품행을 삼갔다.제나라를 얕보던 초나라 영왕이 그를 초청했다. 영왕이 인사말을 나눈 뒤 안영을 깔보듯 물었다. “제나라에는 사람이 없소? 하필 경(卿)과 같은 사람을 사신으로 보낸 이유가 뭐요?” 안영의 키가 작은 것을 비웃은 말이었다. 안영이 서슴지 않고 답했다. “그 까닭은 이러하옵니다. 우리나라에선 사신을 보낼 때 상대방 나라에 맞게 사람을 골라서 보내는 관례가 있습니다. 즉, 작은 나라에는 작은 사람을 보내고 큰 나라에는 큰 사람을 보내는데, 신(臣)은 그중에서도 가장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초나라로 오게 된 것입니다.”안영의 능수능란한 언변에 기가 꺾인 영왕이 부아가 끓어오르던 참에, 마침 그 앞으로 포리가 제나라 사람인 죄인을 끌고 갔다. 영왕이 잘됐다 싶어 안영에게 들으라고 큰소리로 죄인의 죄명을 밝힌 다음 말했다. “제나라 사람은 도둑질을 잘하는군.” 안영이 자세를 고쳐앉으며 답했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습니까. 제가 듣기로는 귤이 회남(淮南)에서 나면 귤이 되지만, 회북(淮北)에서 나면 탱자가 된다고 합니다(橘生淮南則爲橘 生于淮北爲枳(귤생회남즉위귤 생우회북위지). 이 둘은 잎은 비슷하나 그 열매의 맛은 전혀 다릅니다. 그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