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더 이상 응축할 수 없는 서정시의 극치 [고두현의 아침 시편]

    랑서정춘랑은이음새가 좋은 말너랑 나랑 또랑물 소리로 만나서사랑하기 좋은 말올해 84세인 서정춘 시인의 제7 시집 <랑> 첫머리에 나오는 표제작입니다. ‘랑’이라는 말의 둥근 어감에다 ‘이음새가 좋은 말’이라는 의미까지 절묘하게 어우러진 작품이지요. 고도로 응축된 언어로 서정의 극치를 보여주는 시입니다.여기에서 ‘랑’은 ‘너랑 나랑’을 이어주는 ‘사랑’의 접속 조사이면서 ‘또랑물 소리’로 우리와 세상을 이어주는 연결 고리입니다. ‘시인이랑 독자랑’ 이어주는 교감의 이음새이기도 합니다. 이 시의 후속편이라 할 수 있는 ‘피아노랑’이라는 시를 볼까요.‘<피아노랑>은 피아니스트 박지나 님이 서정춘의 시 「랑」에서 영감을 얻어 여러 또랑물 소리를 모시고 연주 동아리 이름을 지은 거다// 정녕, 랑은 이음새가 긴 온음표 같은 것’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조사 하나에서 이렇게 놀라운 세계를 펼쳐내다니, 대단한 경지입니다. 이번 시집에는 이처럼 짧고도 웅숭깊은 시가 31편 실려 있습니다. 시만 짧은 게 아니라 수록 편수도 다른 시집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시집 앞머리의 ‘시인의 말’ 또한 짧습니다. ‘아하, 누군가가 말했듯이/ 나도 “시간보다 재능이 모자라 더 짧게는 못 썼소.”’ 이전 시집 <이슬에 사무치다>의 ‘시인의 말’에 썼던 말을 인용한 것입니다. 이 이상 더 응축할 수가 없다는 뜻이지요.이 같은 시적 염결성은 그의 인생 전체를 관통합니다. 1941년 전남 순천에서 마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가난과 독학으로 시의 길을 헤쳐왔습니다. 신문 배달 중에 우연히

  • 교양 기타

    여관방 벽지에 쓴 인생시 '죽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죽편(竹篇)1 - 여행서정춘여기서부터, -멀다칸칸마다 밤이 깊은푸른 기차를 타고대꽃이 피는 마을까지백 년이 걸린다.* 서정춘 : 1941년 전남 순천 출생.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죽편>, <봄, 파르티잔>, <귀>, <물방울은 즐겁다> 등 출간. 박용래문학상, 순천문학상, 최계락문학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인생을 대나무와 기차에 비유한 명시입니다. ‘죽편’은 가객 장사익의 노래로도 유명하지요. 서정춘 시인이 1980년대 후반, 허름한 여관방에서 누군가를 종일 기다리다 번개같이 떠오른 시구를 벽지에 휘갈겨 썼다고 합니다.“그날 혼자 여관방에서 ‘인생이란 대체 뭐길래 내가 여기까지 왔나, 왜 왔나, 여기서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나… 온갖 상념으로 7시간을 뒤척였죠. 그런데 갑자기 ‘여기서부터, -멀다’라는 시구가 번개같이 떠오르는 거예요. 종이가 없어서 그걸 여관 벽지에다 썼지요….”이 시의 ‘칸칸마다 밤이 깊은/ 푸른 기차’는 끝없는 인생의 여정을 닮았습니다. 시인은 ‘여기서부터,’라고 쉼표를 찍어 반박자 쉰 다음, 하이픈을 그어 또 호흡을 조절하면서 ‘대꽃이 피는 마을까지’가 얼마나 먼지를 절묘하게 표현했지요. 5행 37자 압축미의 극치입니다.4년 동안 80번 이상 고치고 또 고친 시원래 초고는 25행이 넘었다고 합니다. 여관방도 등장하고 몇 시간이나 사람을 기다리던 얘기도 들어 있고, 이래저래 군더더기가 많았다는군요. 그는 이 시를 4년 동안 80번 이상 고치고 또 고쳤습니다. 그러면서 고향 순천에 많던 대나무와 대나무 막대를 가랑이에 끼고 기차놀이하던 기억, 거기에 대나무의 수직 이미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