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생물학적 결정론으로 만들어진 '신세계' 불행 그려…과학의 진보와 전체주의 밀착이 빚어내는 비극 풍자

    “신세계에선 누구도 불행하지 않다. 굶주림과 실업, 가난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질병도, 전쟁도 없고 누구도 고독하거나 절망을 느끼지 않으며 불안해하지도 않는다. 아아, 얼마나 신기한가. 이런 사람들이 모여 사는 멋진 신세계여!”올더스 헉슬리(1894~1963)의 《멋진 신세계》는 조지 오웰의 《1984》, 예브게니 자먀찐의 《우리들》과 함께 세계 3대 ‘디스토피아(사회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극대화돼 나타나는 어두운 미래)’ 소설로 꼽힌다. 1932년에 출판된 《멋진 신세계》는 역설적 표현이다. 과학의 진보가 전체주의, 인간의 오만함과 밀착할 때 어떤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1차 세계대전 뒤 파시즘 등장을 지켜본 유럽인의 절망감과 불안감이 담겨 있다. 이 소설은 국가 권력이 시민들의 정신을 완벽하게 장악하고, 극도로 발전한 과학기술 문명을 통제하는 계급사회를 그렸다. ‘자동차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가 태어난 해인 1863년을 인류의 새 기원으로 삼았다. 작품 속 배경은 포드 기원 632년(서기 2496년)의 영국이다.인간을 대량 생산하고 감정도 조절헉슬리가 ‘포드 기원’을 채택한 것은 포드의 ‘컨베이어 시스템’이 서구 경제를 가장 혁명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봤기 때문이다. 신세계에선 모든 것이 ‘포드주의’에 따라 자동 생산된다. 무스타파 몬드 총통이 전 세계를 정복해 단일 독재국가로 만들었다. ‘공유, 안정’이 이곳의 표어다. 인간을 대량 생산할 뿐만 아니라 그 품질을 조절해 사회구성원을 독재자의 의도대로 만들어낸다. 구성원들은 이를 문명사회, 신세계로 받아들인다.신세계에서 인간은 ‘보카노프스키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