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유통속도
-
경제 기타
돈을 풀어도 돌지 않는다…'유동성 함정'에 빠졌나
“그동안 감사했습니다.”코로나19 사태 이후 이런 안내문 한 장을 남기고 조용히 폐업하는 가게가 줄을 잇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임금 근로자(자영업자+무급가족 종사자)는 663만9000명으로, 1년 새 16만1000명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매출이 예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가운데 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들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 고용한 직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전년 대비 17만2000명 줄었고, 직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6만6000명 늘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사업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람을 쓰지 않고 자동주문 시스템을 활용하는 흐름이 코로나 영향으로 더욱 가속화됐다”고 했다. 넘쳐나는 유동성, 어디로 갔나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와 중앙은행이 ‘돈 풀기’에 나섰지만 실물경제에 돈이 제대로 돌지 않고 있다. 가계가 소비를 늘리고, 기업이 투자를 확대하는 데 쓰이게 하자는 본래 취지와 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다.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은 활황을 누리는데 실물경제는 침체에 빠지는 괴리 현상도 감지되고 있다. 우리 경제가 ‘유동성 함정’에 빠져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경제신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유동성(liquidity)이란 단어는 ‘돈’으로 바꾸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원래 경제학에서 유동성은 자산이 얼마나 쉽게 교환 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뜻한다. 현금은 그 자체가 교환의 매개여서 유동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유동성=현금’의 맥락으로 자주 쓰인다. 증시에선 시중자금 유입이 주가 상승을 이끌 때 ‘유동성 장세’라고 부른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이 주식시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