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移木之信(이목지신)

    ▶ 한자풀이移 : 옮길 이木 : 나무 목之 : 갈(어조사) 지信 : 믿을 신나무를 옮기기로 한 믿음이란 뜻으로약속을 지키는 신의와 신용을 일컬음 - <사기(史記)>상앙(商)은 전국시대 진나라 명재상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한 부국강병책을 추진해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는 데 주춧돌을 놓은 정치가다. 그는 법의 제정과 시행에 매우 신중했는데, 한번은 법을 제정해 놓고도 즉시 공포하지 않고 뜸을 들였다. 그를 신임하던 효공이 그 까닭을 묻자 상앙이 답했다.“법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백성이 조정을 믿고 잘 따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성이 조정을 믿지 못해 법을 우습게 알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저는 백성의 믿음을 어떻게 얻을까 그걸 고민하고 있습니다.”방안을 고심하던 상앙이 한 가지 생각을 냈다. 다음날 도성 남문 근처에 커다란 나무 기둥 하나를 세우고 그 옆에 방을 붙였다. “누구든지 이 기둥을 북문으로 옮겨 놓는 자에게는 십 금(十金)을 주겠노라.” 사람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나무가 크고 무거워 보이기도 했거니와 그것을 옮긴들 상을 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튿날 상앙은 상금을 오십 금으로 올려 다시 방을 붙였다. 그러자 반응이 달라졌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힘 좀 쓰는 사람들이 달려들어 나무 기둥을 둘러매고 북문으로 옮겼고, 호기심이 생긴 사람들은 그 뒤를 따라갔다. 나무 기둥이 북문에 도착하자, 상앙은 약속대로 그 남자에게 오십 금을 내주었다. 그런 다음 법령을 공포하자 백성들은 조정을 믿고 법을 잘 지켰다.사마천이 쓴 사기(史記)의 상군열전(商君列傳)에 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미생지신(尾生之信)

    ▶ 한자풀이尾  꼬리 미生  날 생之  어조사 지信  믿을 신춘추시대 노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내가 있었다. 그는 어떤 일이 있어도 약속을 어기지 않았다. 어느 날 미생은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그는 늦지 않게 다리 아래로 나갔으나 웬일인지 여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그 자리에서 기다렸고 갑자기 쏟아진 장대비로 개울물이 불어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자리를 옮기지 않고 마냥 여자를 기다리다 교각을 끌어안은 채 익사하고 말았다. 《사기》 《장자》 《전국책》 《회남자》 등에 두루 나오는 얘기다.‘미생의 믿음’이란 뜻의 미생지신(尾生之信)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하나는 약속을 굳게 지키는 것을, 하나는 고지식해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한다. 말하고자 하는 뜻에 맞춰 인용되지만 후자, 즉 ‘융통성이 없는 고지식함’을 이르는 경우가 많다.장자는 도적의 우두머리인 도척의 입을 빌려 미생의 융통성 없고 어리석음을 통박한다. “이런 인간(미생)은 제사에 쓰려고 찢어발긴 개나 물에 떠내려가는 돼지, 아니면 쪽박을 들고 빌어먹는 거지와 다를 바 없다. 쓸데없는 명분에 빠져 소중한 목숨을 가벼이 여기는 인간은 진정한 삶의 길을 모르는 놈이다.”《전국책》에서도 미생의 신의는 단지 사람을 속이지 않는 데 불과할 따름이라고 혹평하고, 《회남자》에서도 미생의 신의는 차라리 상대방을 속여 순간의 위험을 피하고 후일을 꾀하는 것만 못하다고 꼬집었다.믿음은 껍질보다 알맹이가 중요하다. 알맹이는 무엇을, 왜 믿느냐에 관한 거다. 자신의 이익에만 맞춤한 믿음은 이기심의 우아한 포장일 뿐이다.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