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중국 게임 규제는 한국 게임시장 구조조정 기회

    우리나라 게임업계는 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국내 게임업계의 비즈니스 모델이 더 이상 효율적이지 않고, 한국 게임업계가 문호를 개방하는 것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중국이 텐센트 등 게임업체를 규제하기 시작했다.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1시간 정도만 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는 규정을 발표하면서 게임시장의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셧다운제는 조금씩 풀려가고 있다. 앞으로는 선택적 셧다운제 등 남은 게임 규제안을 풀어나가며 게임이 K팝과 같이 하나의 문화로 인정받게 될 것이다. 이는 곧 가장 큰 해외 시장인 중국 게임시장이 막히는 대신 내수 시장은 양질의 게임을 받아들이기 위해 문호를 연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 게임업계는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 선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이를 위해 국내 게임업계는 구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그 형태는 회사마다 다를 것이다. 넷마블과 같이 빅히트 등 우수한 업체에 돈을 투자하는 방식을 적용해서 생존해도 괜찮다. 그러나 적어도 한국 게임업계에서 게임이라는 콘텐츠를 만들면서 생존하고 싶다면 구조조정이 필요하다.실제로 올바른 운영이나 티저 영상만으로 주목받는 기업이 최근 늘고 있다. S사의 ‘로스트아크’는 출시 당시 퀄리티는 높았지만 콘텐츠가 부족하고, 신규 유저가 게임을 접을 정도로 단순해 인기가 시들해졌다. 그러나 올초 다른 게임사의 운영에 실망한 유저들이 사용자들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한 이 게임을 다시 찾기 시작했다. P사의 ‘도깨비’는 티저가 끊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유저들이 높은 퀄리티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N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