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6) 루소(하): 에밀

    혹시 전편에서 살펴 본 루소의 《사회계약론》 첫 문장을 기억하는가? “인간은 자유 롭게 태어났지만 사회 속에서 쇠사슬에 묶여 있다”는 문장을 말이다. 그런데 이처 럼 자연 상태를 이상적으로 여기는 루소의 입장은 오늘날 교육학 최고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그의 다른 저서 《에밀》에서도 되풀이해 나타난다.교육이라는 일체의 문명을 거부이 책의 첫 문장은 “창조자의 손에서 모든 것은 선했지만, 인간의 손안에서 모든 것이 타락한다”는 말로 시작한다. 이렇게 보면 ‘자연은 선하고 문명은 악하다’는 전제는 루소의 철학 전체를 꿰뚫는 기본 입장이 《에밀》에서도 똑같이 발견된다. 이와 같은 전제를 토대로 루소는 자연 상태를 이상으로 설정하고,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주장을 모토로 당대의 정치 및 사회체제 부조리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루소는 기존 사회의 부조리를 단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교육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가 보기에 인간을 타락으로부터 건져내려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일체의 문명을 거부하고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 말 그대로 ‘자연으로 돌아가는’ 일은 불가능하다. 인간은 오래전에 이미 문명이라는 다리를 건넜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루소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의 교육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에밀》에서 행한 루소의 사고실험에서 찾을 수 있다. 루소는 《에밀》을 저술하면서 이것이 현실이 아닌 공상임을 전제하고, 허구적으로 창조해낸 가상의 인물인 ‘에밀’을 등장시켜 이전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차원의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