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실체와 본질을 생각하게 해 준 카프카의 《변신》

    사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타인과의 교감과 교류를 통해 정서적 안정과 인격적 발달을 이루고 사회화되는 인간은 문명의 발달이 가져온 인간 소외 현상이나 물질만능주의로 인해 그 본질을 잃어가고 있는 것 같다. 지난 방학,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을 읽으며 본질과 실체 중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이 가치를 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되었다.《변신》은 아버지의 사업 실패 이후 외판사원으로 일하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던 그레고르가 어느 날 갑자기 벌레로 변하면서 가족들과 그가 겪게 되는 심리적 갈등을 그린 소설이다. 그레고르가 실체를 잃고 본질만 남게 된 상황에 이르고서야 비로소 무기력했던 가족들이 일자리를 찾기 시작하는 것이 아이러니했다. 처음에는 그가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올지 모른다는 기대로 먹을 것을 챙겨주던 여동생마저 일자리를 구한 후론 바쁘다며 그가 음식을 먹는지 마는지 신경 쓰지 않았고, 벌레가 된 아들의 모습을 보고 실신한 어머니를 보자 울컥 화가 치민 아버지는 사과 하나가 그의 등에 박혀버릴 때까지 그레고르를 향해 계속해서 사과를 던졌다.가족들은 그렇게 이 혐오스러운 벌레가 원래는 자신들의 가족이었다는 사실을 잊어갔다. 어느 날 집에 하숙하는 손님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동생이 연주하는 바이올린 소리에 이끌려 나간 거실에서 벌레인 그를 마주한 손님들은 불쾌감을 드러냈고, 그레고르는 그의 방에 고립되었다. 그레고르는 이제 스스로 죽는 길밖에 남지 않았음을 깨닫고 방안에 들여놓은 음식물을 먹지 않는다. 그의 몸은 조금씩 움직임을 멈춰갔다. 그레고르의 죽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