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운동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갑질문화?… 행태는 문화가 아니죠
'갑질문화'도 신중하게 써야 할 말이다. '갑질'이란 단어는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았다. '갑'은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 접미사 '-질'을 붙여 '갑질'이란 말을 만들었다.문화가 넘치는 시대다. 웬만한 말에 갖다 붙이면 다 ‘OO문화’가 된다. 문화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고도로 추상화된 단어다. 개념적으로도 좁은 의미에서 넓은 의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그러다 보니 우리 주변에서 문화가 아닌 것을 찾기 어려울 정도가 됐다. 그렇다고 아무데나 써도 되는 말일까? 요즘 우리 사회를 흔들고 있는 ‘갑질문화’도 그런 점에서 들여다볼 만하다. 찬찬히 보면 좀 생뚱맞다는 생각이 든다.강간문화, 조폭문화 등 아무데나 갖다 붙여‘미투 운동’이 한창 보도될 때 일각에서 ‘강간문화’가 튀어나왔다. 영어로는 rape culture다. 우리 사회에서는 이 말이 낯설지만 영어권에서는 꽤 알려져 있는 용어다. 1970년대 미국에서 페미니스트들이 쓰기 시작해 단행본과 영화로도 많이 소개됐다. ‘강간문화’란 말은 인류역사와 강간의 사회적 환경을 조명한 학술적 개념에서 비롯됐다. 이 말을 쓰려면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일상의 언어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갑질문화’도 신중하게 써야 할 말이다. ‘갑질’이란 단어는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았다. ‘갑’은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첫째를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 접미사 ‘-질’을 붙여 ‘갑질’이란 말을 만들었다. ‘-질’은 노름질, 서방질, 싸움질 같은 데서 보듯 주로 좋지 않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유감'은 사과가 아니라 섭섭할 때 쓰는 말이죠
우리가 알고자 하는 유감은 '遺憾'이다. 남길 유(遺), 섭섭할 감(憾)이다. 즉 '마음에 차지 않아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표준국어대사전)을 말한다.‘미투 운동’이 일파만파로 번졌다. 그 와중에 우리말 ‘유감’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들이 사과한다고 말한 속에, 또는 이를 보도하는 언론 표현에 자주 등장한다. 대개 이런 투다. “상처받은 이들에게 유감의 뜻을 표한다.” 그런데 썩 자연스럽지가 않다. 사과의 진정성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 왜일까? 이유는 ‘유감’이란 말의 용법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본래 쓰임새는 서운하다는 뜻‘유감’의 정체는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다. 유감을 한자로 써 보라고 하면 자칫 ‘有感’ 정도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는 다른 말이고, 우리가 알고자 하는 유감은 ‘遺憾’이다. 남길 유(遺), 섭섭할 감(憾)이다. 즉 ‘마음에 차지 않아 섭섭하거나 불만스럽게 남아 있는 느낌’(표준국어대사전)을 말한다. 한마디로 ‘섭섭하다’ 또는 ‘언짢다’는 뜻이다. 다른 말로 하면 감정(憾情·이 역시 感情과 구별해야 할 말이다)이 있다는 뜻이다. “너, 나한테 유감 있냐?”라고 하면 “나한테 불만 있냐?”는 뜻이다.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 일각에서 이 말에 사과의 의미를 담아 쓰기 시작했다. 유감의 감(憾)은 ‘대단히 강하게 느끼는(感) 감정(心)’이란 뜻을 담았다. 기쁨보다는 한스럽고 분한 감정에 나타나는 느낌을 말한다(하영삼, ‘한자어원사전’).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해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
생글기자
성폭력 가해자는 자기합리화보다 진정으로 뉘우쳐야
요즘 사회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아직 그 열기가 식지 않은 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운동이 하나 있다. 바로 ‘미투(#ME TOO)’운동이다. 미투운동은 성폭력 및 성희롱 행위를 비난하기 위해 피해자가 자신의 신원을 밝히고 가해자를 사회에 고발하는 운동이다. ‘나도’라는 뜻을 갖고 있는 ‘Me, too.’를 해시태그로 사용해 “나도 고발한다”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이를 격려하기 위해 사람들은 ‘함께한다’라는 뜻의 “위드유(with you)”를 사용해 피해자의 용기 있는 행동에 지지를 표하기도 한다.미투 운동은 2017년 10월 미국에서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폭력 행위를 비난하기 위해 해시태그를 다는 행동에서 시작돼 엘리사 밀라노에 의해 대중화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지현 검사가 검찰 내의 성폭력 실상을 고발함으로써 시작됐고, 이는 곧 대단한 파장을 불러일으켰다.사실 미투 운동은 그동안 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던 운동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뉴스에 소개된 미투 운동의 사례를 보더라도 성폭력을 행한 사람의 권위가 높아 쉽게 저항할 수 없었던 경우가 많았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가 성폭력을 당했을 때 느끼는 공포심 또는 수치심으로 인해 신고를 선뜻 하지 못해 묻힐 가능성이 크기도 하다.미투 운동이 쏟아져 나오는 이 상황을 보았을 때, 아직도 얼마나 더 있을까 추측조차 하지 못하겠다. 그런데 지금까지 공개된 성폭행 사건들 중, 어떤 가해자들은 “그 사람이 노출이 심한 옷을 입어서 그런 것이다. 원인 제공은 피해자 쪽에 있다. 나는 억울하다”라는 말을 하며 어이없는 논리로 자신의 범죄행위를 정당화하는 경우가 있다.자유와
-
생글기자
확산되는 미투 운동… 억울한 피해자는 없어야
요즘 미투 운동이 화두다. 작년 10월 미국 할리우드에서 한 여배우가 하비 와인스타인에게 성추행당한 것을 폭로하면서 시작된 미투 운동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서지현 검사가 한 방송에 출연해 검찰 내 성폭력 실상을 고발하며 시작된 한국 미투 운동은 문학계, 연예계, 정치계를 막론하고 확산되고 있다. 유명 시인 및 배우는 물론 차기 대권 주자로 각광받던 사람까지 성추행 파문에 휩싸이며 미투 운동에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미투 운동의 취지는 “나도 당했다”, 즉 억울하게 성추행이나 성폭행 피해를 입은 여성들이 더 이상 숨기지 말고 당당하게 밝히자는 것이다. 특히 직장에서 상사라는 권위를 이용해 성추행 및 성폭행이 암암리에 이뤄지는 사례가 많아 많은 사람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성추행 및 성폭행을 ‘부끄러운 것’이라고 인식해 숨기기에 급급했던 사회 분위기가 점차 바뀌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지만, 가장 우려되는 것은 미투 운동의 변질이다.유명인을 시기해 인생을 추락시키려는 목적으로 허위 신고를 한다거나, 대중이 미투 운동의 본 목적은 점점 무시하고 가십거리로 소비하기 시작하는 상황에 대해 많은 사람이 걱정하고 있다. 무엇보다, 성추행 파문에 휩싸인 사람은 사회적으로 매장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허위 신고가 몰고 올 피해는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겉으로는 미투 운동을 가장하면서 단순히 연예인 X모군이 X모양을 성추행했다는 식으로 추측을 유발하는 흥미 위주 기사가 올라오는 등 이미 변질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늘고 있다.미투 운동 또한 사회가 바뀜에 있어 필연적인 현상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