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새로운 산업과 시장 창출할 인공 고기

    소, 돼지 등 동물을 사육해 얻는 것이 아닌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해 만든 고기. 인공 고기는 아직 많은 사람에게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다. 그러나 미래 어느 시점엔 인공 고기가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육류를 상당 부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어쩌면 인공 고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일지도 모른다. 현재의 축산업이 지속 가능성이라는 면에서 한계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같은 양의 고기를 생산할 때 인공 고기는 지금의 축산 시스템에 비해 온실가스 발생량을 90%, 에너지 소비량을 45%까지 줄일 수 있다. 가축용 사료를 재배하기 위해 개간되는 정글과 숲을 보존해 지구의 생태 환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도 인공 고기의 장점이다.인류의 건강에도 인공 고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축산 과정에서 쓰이는 항생제와 호르몬제 섭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다.아직까지 인공 고기는 가격이 비싸고, 육류와 완벽하게 같은 맛을 내기에는 기술적 한계도 존재한다. 그러나 인공 고기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 절하해서는 안 된다.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지면서 한계를 조금씩 극복해가고 있기 때문이다.기술 발전과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봐야 한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기술 중에서도 처음부터 완벽했던 것은 많지 않다. 소비자의 평가를 반영해 기술을 가다듬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가면서 시장에 안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이다. 인공 고기가 만들어낼 축산업의 변화에 대비하고, 새로운 시장의 등장을 준비해야 한다.노관우 생글기자(중국 연대한국학교 11학년)

  • 생글기자

    세포 배양육이 몰고올 축산 혁명

    지구상에 있는 포유류 중 93%는 사람이 먹기 위해 기르는 것이라고 한다. 소비량이 막대한 만큼 공장식 축산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1년간 도축되는 닭만 10억 마리 가까이 된다. 셀 수 없이 많은 소와 돼지, 닭이 좁고 어둡고 지저분한 우리에 갇힌 채 인간을 위해 사육되고 있다. 이런 공장식 축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어마어마하다. 지구 환경에 위협이 되는 것이다.이마저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EP)은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현재의 축산업과 어업으로는 2030년 이후 인류의 단백질 공급에 한계가 닥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속 가능한 육식을 위해 주목받고 있는 것이 세포 배양육이다. 세포 배양육이란 동물을 사육해 도축하는 방식이 아닌, 세포를 키워 만든 인공 고기를 말한다.세포 배양육은 공장식 축산업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83%까지 감축할 수 있다. 또 물을 84% 아낄 수 있고, 토지 사용도 87% 줄일 수 있다. 동물의 생명을 빼앗지 않아도 된다. 구제역과 같은 가축 전염병에 대한 걱정도 크게 줄일 수 있다.세포 배양육은 이미 상업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미국에서는 세포 배양 닭고기를 판매하고 있다. 세포 배양 방식으로 만든 호랑이 고기 스테이크, 얼룩말 스시롤, 기린 등심까지 등장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선에서 칠면조 고기를 배양해 먹었다.머지않아 우리 식탁에도 세포 배양육이 오를 것이다. 축산업과 인류의 식문화가 바뀔 날이 다가오고 있다.최준원 생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