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미라
-
커버스토리
글로벌 기업들, 신성장 분야로 바이오헬스산업 중점 육성
세계 각국은 바이오헬스산업을 신성장 분야로 중점 육성하고 있다. 바이오헬스는 기술집약적인 데다 대규모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정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오랜 기간 시장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각국 정부가 자국의 바이오헬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2022년이면 350조원에 달할 것이란 게 업계 전망이다.국가별 바이오산업 육성책 쏟아져미국은 2012년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연구개발(R&D) 분야 투자, 중개 과학, 사회대응형 과학 지원을 강화했다. 미 국립보건원(NIH) 예산은 2015년 295억달러(약 35조2600억원)에서 올해 338억달러로 늘었다. 예산의 80%는 대학, 병원 등 외부 연구자에게 집중 지원됐다. 정부 차원에서 2022년까지 미국인 유전자 100만 개를 확보해 분석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일본은 2015년 의료 분야 R&D 사령탑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립했다. 올해에만 예산 1515억엔(약 1조6500억원)을 편성했다. AMED는 바이오 R&D를 위한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예산 배분 기능도 맡고 있다. 일본은 AMED의 지휘 아래 의약품·의료기기 개발, 임상연구, 재생의료 및 유전자 치료 등 9대 주요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유럽연합(EU) 성장세도 괄목할 만하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손꼽히는 건강 국가지만 고령화 및 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문제로 제약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피부질환 부문의 글로벌 강자인 레오파마, 당뇨병 치료 선도기업 노보노디스크 등이 벨기에에서 탄생했다. 2017년 기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15개를 포함해 200여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