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너미
-
생글기자
고등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프레너미' 현상에 대하여
프레너미는 친구(Friend)와 적(Enemy)의 합성어로, 친구인 척하는 적 혹은 전략적 협력관계이면서 다른 부분에서는 경쟁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프레너미 중 친구인 척하는 적의 예로 토사구팽의 관계를 들 수 있다. 토사구팽은 토끼가 죽고 나면 필요 없어진 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가 없어지면 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프레너미가 고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 충남삼성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프레너미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100%가 ‘아니오’라고 응답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레너미 개념을 소개한 뒤 ‘프레너미를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서 45%가 ‘친구인 척하는 적’과 ‘전략적 협력관계이면서 경쟁관계’를 둘 다 경험해 보았다고 답변하였으며, 34%가 둘 중 하나라도 경험을 해보았다고 답하였다. 한 개 이상 경험해 보았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중복응답이 가능하게 하여 각각의 관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에 보았다. 그 결과 친구인 척하는 적에서 ‘자신의 이익만 챙기려고 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가 46%, ‘나중에 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다른 사람들에 대한 신뢰감도 흔들렸다’가 21%로 대체로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전력적 협력관계이면서 경쟁 관계’를 경험한 학생들 중 ‘협력하면서 경쟁하니 서로 성장할 수 있었다’가 41%가 나왔지만, ‘친구이긴 하지만 내심으로는 뒤처질까봐 불안하다’가 31%가 나온 만큼 긍정적 효과를 주면서도 정서적으로 많은 불안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응답자
-
영원한 친구도, 영원한 적도 없다…기업 경쟁의 새 키워드 '프레너미'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양강(兩强) 삼성과 애플. 두 회사는 해마다 ‘갤럭시’와 ‘아이폰’ 신작을 내놓으며 불꽃 튀는 마케팅 전쟁을 벌인다. 상대방을 은근슬쩍 깎아내리는 비교 광고는 물론 떠들썩한 특허 소송전까지 불사한 걸 보면 앙숙도 이런 앙숙이 없다. 하지만 애플이 아이폰의 많은 부품을 삼성에서 납품받고, 삼성 역시 매출의 상당 부분을 애플에 의존한다는 점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상황에 따라 주적이 되기도, 우군이 되기도 하는 묘한 관계인 셈이다.삼성과 애플처럼 경쟁과 협력이 동시에 이뤄지는 관계를 ‘프레너미(frienemy)’라 부른다. 친구(friend)와 적(enemy)을 합친 말로, 영국 케임브리지대 심리학 교수인 테리 앱터가 《베스트 프렌즈》라는 책에서 처음 썼다. 친구가 잘 되길 응원하면서도 내심 자신이 뒤처지진 않을까 두려워하는 인간의 이중적 심리를 표현하면서다.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와 IBM, 일본의 소니와 파나소닉 등도 전형적인 프레너미 사례다. 구글은 갤럭시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특허를 공유하며 삼성과 협력관계를 유지해왔으나 스마트홈, 간편결제 등의 신사업에서는 삼성과 맞수가 됐다. SK, KT, LG가 앱스토어 시장에서 구글의 독주를 막기 위해 ‘원스토어’라는 토종 앱스토어를 함께 출범시킨 것도 비슷한 예다.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할수록 프레너미의 등장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카 같은 융합형 산업에서는 전통적인 산업 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면 같은 업종의 경쟁사끼리도 과감히 손을 잡아야 할 때가 많이 생긴다. 기술의 진보가 빨라지고,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