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
경제 기타
G7의 법인세율 담합…경제위기 극복에 도움이 될까
우리는 흔히 손쉬운 세수 확보의 방법으로 세금 인상을 떠올린다. 하지만 현실은 생각만큼 녹록지 않다. 납세자의 동의 없이 막무가내로 세금을 인상했다가는 거센 반발만 불러오기 때문이다. 사실 그 누구도 자기 주머니에서 조금이라도 더 많은 세금을 내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명징하게 드러난다. 특히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 법인세는 달갑지 않은 존재다. 실제로 기업활동은 법인세율이 높을수록 위축되고, 반대로 법인세율이 낮을수록 활발해진다. 낮은 법인세율로 이득을 본 나라는 바로 아일랜드다. 현재 아일랜드는 법인세율이 12.5%다.이렇게 낮은 법인세율은 아일랜드를 경제 위기에서 구해내기까지 했다. 2010년 아일랜드는 재정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했지만, 3년 만인 2013년 12월 유로존 재정위기 국가 중 최초로 구제금융에서 벗어났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답은 법인세율 인하에 있었다. 법인세 낮춰 기업 몰리자 세수 더 늘어난 아일랜드아일랜드가 법인세율을 낮추자 해외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늘렸고 꽁꽁 얼어붙었던 아일랜드 경제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애플과 구글의 유럽 본사 등이 아일랜드로 옮겨갔다. 세계적 기업이 속속 아일랜드에 둥지를 틀면서 일자리가 늘어나고 내수시장이 활성화됐으며, 아일랜드 경제가 살아났다. 더불어 가계소득 증대에 따라 아일랜드 정부의 세수도 증가했다. 세계 각국에서 많은 기업이 몰리면서 아일랜드 정부가 거둬들이는 법인세가 늘어난 것은 당연했다. 즉 개별 기업의 법인세율을 낮춘 덕분에 전체 법인세의 규모는 늘어난 것이다.이처럼 일관성 있는 아일
-
커버스토리
미국과의 통상 갈등에 공동성명 못 내고 끝난 G7 정상회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통상 갈등을 해소하기는커녕 오히려 마찰 강도만 높인 채 끝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뒤늦게 공동성명 승인을 거부하고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다른 회원국을 위협한 탓이다. 1975년 시작된 G7 정상회의에서 7개국 공동성명이 나오지 못한 건 처음이다. 글로벌 자유시장경제의 근간이던 G7 체제도 세계무역기구(WTO)처럼 흔들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미국과 6개국가 내분… 흔들리는 G7G7 정상들은 9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에서 이틀간의 일정을 마친 뒤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규칙에 기반을 둔 무역 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세·비관세 장벽 및 보조금을 줄여가자는 내용이었다. G7 회원국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이다.하지만 몇 시간 뒤 트럼프 대통령은 싱가포르로 향하는 기내에서 트위터를 통해 “미국 대표단에 공동성명을 승인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회담 종료 뒤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관련해 “모욕적이다. 보복하겠다는 의사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했다”고 밝히자 이는 거짓이라며 모든 걸 원점으로 되돌린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경제 외교를 뒤엎고 동맹과의 공동성명에 서명하지 않았으며 이웃에 대한 무역 전쟁을 확대하고 트뤼도 총리를 비난했다”고 보도했다.트럼프, 관세 문제로 다른 정상들과 대립트럼프 대통령은 회의 내내 다른 정상들과 미국의 철강 관세 등을 놓고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회의에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와 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