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사·교양 기타

    한일관계 120년사

    주니어 생글생글 제152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한일 관계사’입니다. 2025년을 을사늑약 120년, 한·일 수교 60년을 맞는 해입니다. 과거 을사년에 있었던 굵직한 사건을 중심으로 한일 관계사를 정리했습니다. 일본과 협력하고 경쟁하며 선진국으로 도약한 한국 경제 성장사를 간략히 돌아봅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함태호 오뚜기 창업자입니다. 종합식품회사 오뚜기의 창업과 성장 과정을 살펴봅니다.

  • 경제 기타

    정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파기키로

    청와대가 지난달 22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결정을 내리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쏘는 등 무력 도발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대북(對北) 군사감시 전력이 약해질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외교적으로도 후폭풍이 크다. 협정 당사국인 일본뿐만 아니라 동맹국인 미국까지도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일 관계는 물론이고 한·미 동맹에도 균열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한·일 간 정보 교환은 30건한·일 간 군사 기밀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지소미아에는 교환할 기밀의 등급과 제공 방법, 정보 열람권자 범위, 파기 방법 등이 규정돼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소미아 체결 후 일본과 직접 교환한 정보는 총 30건이다. 이 중에는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받은 건수도 포함돼 있다.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북한의 핵·미사일과 관련한 동향 및 분석 정보를 얻어왔다.지소미아가 2016년 11월 체결되기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있었다. 그간 정부는 지소미아 체결을 여러 차례 추진했지만 당시 야당(현재의 여당) 반대로 무산됐다. 일본의 군사활동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그럼에도 지소미아 체결을 계속 추진했던 것은 안보적 실익이 큰 데다 한·미·일 공조를 강조하는 미국 입김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끝에 체결된 뒤에는 해마다 갱신돼 왔다. 지소미아는 종료 90일 이전에 파기 의사를 밝히지 않는 한 자동으로 갱신된다. 지소미아를 연장하지 않겠다는 청와대 결정은 종료를 92일 앞두고 이뤄졌다.정밀 분석엔 일본 정보 필요한국군이 갖고 있는 정보 자산은 남쪽을 향한 북한 공격에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