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주요 상위권대, '중복조합' 출제 빈도 계속 늘어

    확률과 통계는 주요 상위권 대학의 경우 교과 과정을 준수하면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확실한 카드인 만큼 출제 빈도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그러면서 이전에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유형들도 자주 출제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중복조합이다. 중복조합은 경우의 수, 순열, 조합의 개념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유형이므로 올해도 출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확률과 통계 대비 포인트 ◀1. 고1 수학의 <경우의 수> 단원을 확실하게 복습할 것.2. 확통 교과서 또는 EBS 교재(확통 특강 - Level 1,2 위주) 등을 활용하여 개념 학습3. 위 출제문항 분석표의 확통 기출문항을 예시답안을 참조하여 반복 풀이할 것. 

  • 대학 생글이 통신

    '희망 대학'보다 '원하는 학과'에 초점을 맞춰 지원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12기 생글기자, 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와 컬처엔테크놀로지학부에 재학 중인 18학번 이승현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건강한 수험생활이란 입시로 인해 나 자신이 망가지지 않고, 시련을 통해 나의 존재를 인식하고 성장시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수험생활을 위해 제가 여러분께 팁을 몇가지 알려 주고자 합니다. 합격만 바라본 지원은 자존감 떨어지고 후회만 남을 거예요첫 번째는 질투 대신 존경하자는 것입니다. 대학입시는 여러분이 겪는 인생 최대의 경쟁일지도 모릅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본인보다 성적이 좋은, 열심히 하는 친구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친구들을 때로는 질투한 적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질투는 나 자신을 깎아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그 친구보다 못한 점을 찾아서 질투하는 것이 아닌, 그 친구에게 배울 수 있는 점,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찾아 존경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두 번째는 학과 선택의 문제입니다. 저는 여러분이 대학에 지원하면서 가장 고민하는 부분이 바로 ‘학과’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조금 더 높은 대학이지만 희망 진로와 상관없는 과에 지원할 것인지, 혹은 합격 안정선에 있는 대학의 원하는 학과에 지원할 것인지에 대해 밤새워 고민했습니다. 우선 저의 조언(?)을 말씀드리자면, 제 생각은 ‘원하는 학과’에 지원하는 것입니다. 떨어질 것 같은 두려움에 진로와 상관없는 학과를 선택해 지원하면,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 기간에 자존감도 떨어지고 계속 후회만 남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지원한 이후로 합격하기 위해 더욱 간절해지는 마음이 생기기 마